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효사상과 불교의 중국적 변용의 연관성

이용수 299

영문명
The Relation between Filial Piety and the Transformation of Buddhism in China -focused on the periodization of early Buddhism in China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한지연(Han, JeeYeon)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47호, 29~5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각 지역불교의 카테고리를 이해하는 데에는 해당 지역의 전통사상 및 문화 등과의 융합을 고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런 의미에서 중국불교 역시 중국 전통사상과의 융합을 고려해야만 한다. 불교와 전통사상과의 충돌 및 융합의 과정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은 바로 ‘효’사상이다. 중국의 전통 효사상과 불교에서의 광범위한 효사상이 갖는 의미가 확연히 구별되고, 차별된 부분을 어떻게 융합해 나아갔는가에 대한 부분을 ‘변용’의 문제로 풀어보았다. 중국 내에서 효사상과의 충돌이 본격화되면서 모자이혹론牟子理惑論에서 불교 측 입장이 표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교흥성의 대표적 왕조인 양나라 때에도 이 문제는 다시금 거론될 정도로 불교는 중국 내에서 이질적 사상으로 비춰졌다. 이러한 배경이 있었기 때문에 양무제는 불설우란분경佛說盂蘭盆經을 바탕으로 우란분회를 개최하는 등 각고의 노력을 했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변용의 한 단면이라 보았으나, 기존의 중국불교 시대 구분론에서 제시한 ‘준비’, ‘육성’의 의미와는 다른 문제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 초기 불교의 시대구분론에 대한 재고를 시도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준비’, ‘육성’ 의 시기를 ‘불교의 변용기’라 정의내리는 것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준비와 육성의 의미는 발전으로의 긍정적 내용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사상적 흐름에 의거하여 고찰된 내용이고, 이를 포함한다고 하더라도 사상적으로 중국전통사 상과의 마찰 및 융합의 내용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변용이 갖는 의미가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지만 사회의 여러 단면들이 유기적으로 불교발전에 영향을 끼쳤다는 점을 고려해본다면 이를 준비 혹은 육성의 의미로만 볼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측면들을 고려한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생각된다. 이에 중국 사회와 사상과의 마찰, 이에 따른 불교에서의 변화 등을 고려하여 변용기로 정의를 시도해본 논문이다.

영문 초록

When Buddhism was spread into China, it had to make a lot of effort to merge itself into Chinese traditional settings of thought and culture. One of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different ideas was the notion of filial piety. The Buddhist thought of filial piety was revealed in Mouze Lihuo Lun (Master Mou's Treatise Dispelling Doubts). The essay made efforts to show that Buddhism did not defy the idea of filial piety in Confucianism. However, these conflicts were continuously brought up through Chinese history. Even in the Yang Dynasty when Buddhism flourished most, the religion suffered from this dissonance. So far, the existing periodization of Chinese Buddhism names these periods the ‘preparation’ and the ‘promoting’. However, since there were conflicts with Chinese traditional thought before the 6th century,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regard these periods as that of transformation to merger into China. The ‘preparation’ and the ‘promoting’ include the nuance of positive change. But during the period, Buddhism suffered a lot defending itself and making harmony with Confucianism. Judging from this, Buddhism was influenced organically by Chinese society to settle down. This article is to redefine the period of early Buddhism in China focused on the idea of filial piety.

목차

I. 시작하며
II. 중국 효사상과 불교 효사상의 연관성
III. 중국불교시대구분론 재고
IV. 마치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지연(Han, JeeYeon). (2016).중국 효사상과 불교의 중국적 변용의 연관성. 불교학연구, (47), 29-53

MLA

한지연(Han, JeeYeon). "중국 효사상과 불교의 중국적 변용의 연관성." 불교학연구, .47(2016): 29-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