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모바일 환경에서의 삶의 질 측정모형에 관한 연구

이용수 23

영문명
A Study on a Measurement Model of Life Quality in a Mobile-environment
발행기관
한국컴퓨터게임학회
저자명
신범순(Shin Beum Soon)
간행물 정보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8호, 1~2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공학 > 컴퓨터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보사회의 모바일환경(Mobile-environment)에서의 삶의 질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성요소를 파악하여 측정모형(measurement model)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삶의 질의 개념은 삶의 주체인 인간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삶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주관적 삶의 질(Subjective quality of life)'로 정의하였으며, 이를 '개인과 환경과의 적합성(Person-environment fit)'을 통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삶의 질 측정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2차례의 예비조사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발된 8개의 삶의 질 차원과 차원별로 최종선정된 측정항목 38개를 가지고 각 차원별로 측정항목들간에 존재하는 명확한 단일차원성(unidimentionality)을 확인하고 구성개념 타당성(construct validity)를 평가하기 위해 AMOS 5.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한편 지표구성 항목에 대해 타당도를 확인하고 구성항목 간의 내적일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알파신뢰도계수(Cronbach α-reliability coefficient)를 산출하였다. 또한 부가적으로 성별과 이동통신이용 만족도에 따른 삶의 질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환경에서 삶의 질의 구성요소는 7가지, 즉 사회성, 여가문화, 기능성, 안전성, 경제성, 건강성, 자율성으로 밝혀졌다. 둘째, 구성요소의 개념에 따른 각 측정항목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여 얻은 측정모형의 전반적 적합지수는 ×2, RMR, GFI, AGFI, NFI의 기준에 비추어 볼 때 대체로 평가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모바일환경에서의 삶의 질의 측정모형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부가적으로 이동통신이용 만족집단이 불만족 집단보다 여가문화, 기능성과 관련한 삶의 질 수준이 더 높다는 것과 남자가 여자보다 이동통신이용 만족도와 기능성측면에 있어서의 삶의 질에 더 관계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모바일환경에서 삶의 질의 구성요소와 측정모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잠재변수(구성개념construct)들을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척도들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개발된 측정모형을 기반으로 다양한 평가와 적용이 수행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환경에서 주관적 삶의 질을 과학적이고 경험적으로 측정한 척도를 제공함으로써 정보화의 궁극적인 목표인 기술적 진보와 삶의 질 향상 간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삶의 질 수준이나 가치를 지속적으로 파악하는데 유의미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e article defines a concept of life quality and tests a validity of measurement method in a mobile-environment. The concept of life quality is defined as a subjective quality of life, which is measured in terms of the person-environment fit. The scale of measurement consists of 8 dimensions of life quality and 38 measurement items.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is performed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hich utilizes AMOS 5.0. I produce the Cronbach a-reliability coefficient in order to comprehend a validity and a consistence between indexes. I use the two-way ANOVA to test differences of life quality between sex and a fulfillment of mobile user. I can summarize results as followings. First, the elements of life quality in the mobile-environment consist of sociality, leasureㆍculture, function, security, economy, health and autonomy. Second, the total fit index satisfies the assessment standard. In addition, the satisfactory group is higher in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the leasureㆍculture and the function than the unsatisfactory group, and men's group is higher in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the fulfillment and the function than women's. This article finds out new scales and constructing elements of life quality. The developed measurement model can be applied to assessments to general relations between a quality of life and a mobile environment. The thesis has an important significance in that it seeks for a balance between a technological progress of informationization and an improvement of life quality as providing the scales to measure scientifically and empirically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the moble.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기존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범순(Shin Beum Soon). (2006).모바일 환경에서의 삶의 질 측정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8), 1-21

MLA

신범순(Shin Beum Soon). "모바일 환경에서의 삶의 질 측정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8(2006): 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