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집단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이용수 395

영문명
Effectiveness of Analysi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Integration - Mainly depression, anxiety, parenting efficacy mother of a child with a disability -
발행기관
한국통합예술심신치유학회
저자명
주혜진(Joo, Hye Jin) 송백윤(Song, Beak Youn)
간행물 정보
『통합심신치유연구』3권 1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 및 불안,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위치한 J 복지관을 이용하는 장애아동의 어머니 16명을 실험집단 8명과 통제집단 8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자는 집단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참여 의사를 나타낸 어머니들 중에서 사회복지사와 직원들의 권유로 선착순 모집하여 실험집단을 배치하였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하길 원했지만 일정상 참여하지 못하는 8명을 통제집단으로 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속한 모든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우울 및 불안, 양육효능감 검사를 사전검사로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총 17회기의 집단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일주일에 1회, 각 세션은 60분으로 이루어졌다. 내담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세션에 사용되는 노래는 창작곡으로 이루어졌고 문학, 미술, 요리, 동작 등 다양한 매체를 가지고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이 끝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사전과 동일한 검사지로 사후검사를 재실시 하였다. 연구결과 집단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우울반응 점수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고, 불안반응 또한 사후검사에서 감소된 연구결과를 나타냈으며, 양육효능감은 우울감과 불안감이 감소됨으로 양육효능감이 상승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caused by group arts therapy program on the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as well as maternal efficacy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targets of the study were 16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were a part of the J community welfare center located in D city, and they were classified between 8 subjects i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remaining 8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Amongst the mothers who expressed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the group arts therapy program, those who were encouraged to join by social workers and other employees were arranged by the researcher in the experiment group by the order of application. For the remaining 8 subjects who wished to take part in the program but could not join because of personal schedules, they were set as a part of the control group. On February 26, an inspection for the degree of depression, anxiety, and maternal efficacy was conducted on all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as a pretest. The sessions took place once a week with 60 minutes per session. In consideration to the traits of the clients, created music was used for songs during the sessions and various forms of medium such as literature, art, cooking, and movements were applied for conduct. Additionally. After the program which consisted of a total of 17 session was finished, the same test conducted before the program was conducted again on the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as a post test. As a result,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arts therapy program display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depressive response sc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it was displayed that the anxious response also reduced during the prior to the program. In case of maternal efficacy, it increased following the drop of anxious and depressive respons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및 절차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혜진(Joo, Hye Jin),송백윤(Song, Beak Youn). (2016).집단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통합심신치유연구, 3 (1), 1-22

MLA

주혜진(Joo, Hye Jin),송백윤(Song, Beak Youn). "집단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통합심신치유연구, 3.1(2016):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