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세친의 『정토론』에 나타난 십지사상

이용수 237

영문명
Avatamska thoughts in Treatise on Pure Land of Vasubandhu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주명철(Joo Myung Chul)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45輯, 240~271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2.28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세친의 『정토론』에 나타난 십지사상의 요소를 찾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정토는 어떻게 건립되었는지 사상적 배경을 알아보면, 세친은 정토를 하나의 진리(一法句)가 17 국토장엄, 8 불장엄, 4 보살장엄 총 29장엄으로 나타난 것으로 본다. 그 사상 배경에는 하나의 진리와 29종의 장엄이 둘이 아니라는 논리가 깔려 있다. ‘물과 파도’의 관계에 비유하면 하나의 진리, 일심 진여는 물에, 29종의 정토의 장엄은 파도와 같아 일심진여가 현상으로 나타난 것이 29종장엄의 정토인 것이다. 또한 이 비유는 법성법신과 방편법신의 관계로 해석할 수 있다. 방편법신과 법성법신은 하나라는 사고에 바탕하고 있다. 방편법신은 법성법신에 의 해서 생기하고, 역으로 방편법신에 의해서 법성법신은 출현한다. 곧 29종의 장엄과 법신은 하나이다. 따라서 이 둘의 관계는 ‘다르면서 서로 분리할 수없는’ 또한 ‘하나이면서 서로 같지 않는’ 不一不異관계로 볼 수 있다. 이렇게 법계와 중생계가 하나라는 대승 화엄불교의 사고가 정토 건립의 사상적 배경이며 원리가 된다. 이와 같은 배경 속에 17종의 국토장엄의 게송과 十地사상은 어떤 상관성이 있을까? 17종의 국토장엄은 『십지경론』의 10지法雲地의 내용과 여러 부분에서 흡사하다. 또한 4종의 보살장엄 역시 『십지경론』의 제8지 · 제9지의 경문과 상당이 많은 부분에서 유사하다. 마지막으로 『정토론』의 왕생행인 오염문 수행과 『십지경론』의 보살수행을 비교 검토해 보면 자리이타의 보살수행을 내용으로 하는 점에서 서로 동일하다. 오염문 행의 결과로서 정토에 왕생하는 五果門의 내용과 십지를 비교해 보면, 오과문 중 첫 번째 근문(近門)은 제7지로부터 제8지 부동지로의 전입이며, 두 번째 대회중문(大會衆門)은 계속해서 부동지에, 나머지 택문(宅門)ㆍ옥문(屋門)ㆍ원림유희지문(園林遊戱地門)은 지바라밀의 증득에 의한 제10지 법운지의 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세친의 정토불교는 『무량수경』보다는 화엄 십지사상의 영향 하에서 체계화 됐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review Avatamska thoughts In the Pure Land Buddhism of Vasubandhu. First of all, let's comprehend how the pure land was ideologically constructed. Vasubandhu understood that One truth(一法句) finds expression in 17 land-vyūha, 8 buddha-vyūha and 4 bodhisattva-vyūha. The background includes a truth and 29 kinds of magnificence of pure land, which are hanging each other on the logic of one. To understand easily, let's make a comparis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and wave. Tathatā or one truth is the water ; 29 kinds of magnificence of pure land is the wave. Tathatā gets 29 kinds of magnificence, taking the forms of the sublime phenomenon. The metaphor is also the same in connection with two Dharmatā dharmakāya and Upāya. Dharmakāya of those two is one. Dharmatā dharmakāya comes from Upāya dharmakāya, and Upāya dharmakāya from Dharmatā dharmakāya in the same way. Dharmakāya and 29 kinds of magnificence is one. While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two are different, they can 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yet one is not equal to each other(不一不異). So a ideological background of Pure Land is Hwayen Buddhism, which claims that one are the world of humankind and of the truth. Under the such ideological background, and then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17 land-vyūha and the daśabhūmi(十地). The 17 land-vyūha is similar in many parts of the content of dharmameghā(法雲地). 4 bodhisattva-vyūha has been the 8th ground(aṣṭamaka-bhumi, 不動地) and 9th ground(navamī-bhumi, 善彗地). In the content, there are a lot of similar parts. Finally, entering into the first gate(近門) of the five gates began at 7th ground(遠行地) under the 8th ground(不動地). The second gate(大會衆門) continued on the 8th ground. The remaining third(宅門), the fourth(屋門) and gate number five(園林遊戱地門) can be understood by virtue of the 10th ground. In conclusion, it is comprehended that the Pure Land of Vasubandhu is more influenced by Hyuyen Buddhism than Muryangsugyeong.

목차

국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정토 건립의 사상적 배경
Ⅲ. 3엄 29종 장엄공덕의 세계
Ⅳ. 오염문과 보살 십지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명철(Joo Myung Chul). (2016).세친의 『정토론』에 나타난 십지사상. 보조사상, 45 , 240-271

MLA

주명철(Joo Myung Chul). "세친의 『정토론』에 나타난 십지사상." 보조사상, 45.(2016): 240-2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