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도불교에 있어 개인의 정체성과 자기동일성 문제의 전개

이용수 608

영문명
Development of the notion of personal identity in Indian Buddhism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최경아(Choi Kyung Ah)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佛敎硏究 第44輯, 9~3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2.29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교에 있어 개인의 정체성과 자기동일성에 대한 연구는 초기 불교에서 말하는 ‘존재의 세 가지 특징'인 무상·고·무아에 대한 이해 없이는 성립될 수 없다. 불교적 세계관을 반영하는 이들 세 가지 특징은 서로 모순 없이 연계되어 있는 듯이 보이지만, 개인이나 사물의 동일성과 관련하여 무상설은 두 가지 모순적 사실에 대한 해명이 전제되어야 한다. 요컨대 실재성이 부정된 존재, 지속성이 결여된 존재에 대한 논의가 성립될 수 있을까? 무아와 무상이라는 기본 테제 위에 성립해야 하는 인간 개인의 정체성과 지속성에 대한 문제는 아비달마불교시대에 이르러 전면적으로 부상한다. 아비달마불교의 대표적 부파 가운데 하나인 설일체유부(Sarvāstivāda)는 이 세상을 유지하는 존재요소로서의 다르마(dharma)를 철저히 분석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명하려 하였다. 그들은 인과법과 ‘쁘랍띠(prāpti, 得)’라는 달마를 활용하여 개인의 정체성과 자기동일성을 설명하려 하였다. 바수반두는 구사론에서 설일체유부의 주장에 만족하지 않았다. 바수반두는 종자(bīja, 種子)와 ‘특별한 상속전변(saṃtatipariṇāmaviśeṣa)’ 이론을 소개하며 연속되는 시간 속에서 개인의 정체성과 자기동일성을 해명하려 했지만, ‘찰나설’에 관해서는 설일체유부의 ‘쁘랍띠’이론 보다 진전된 해명을 내놓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구사론에서 보이는 설일체유부의 철학적 딜레마를 직시하고 자신의 학설을 내놓았으나, 이후에 ‘종자’는 독립된 실체가 아닌, 단지 이름(prajñapti )일 뿐이므로, 마음과 동일한 것도 다른 것도 아니라는 야쇼미트라(稱友)의 비판을 받게 된다.

영문 초록

The study on the problem of personal identity in Buddhism cannot be established without the understanding of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Existence: impermanence, unsatisfactoriness, and insubstantiality. With a cursory speculation on them, it seems that they do not raise any problem or contradiction. However, in relation to the reality of the identical aspect of a person or a thing, an advocate of the doctrine of impermanency could not be free from the pressure to explain the two contradictory realities ― the reality which has no substantiality and the reality which has no durability ― in a satisfying manner. The full-scale investigation on identity and continuity took place in Abhidharma Buddhism when dharmas were meticulously analysed. Concerning the problem of personal identity, Sarvāstivādins also thought of and worked out the notion of personal identity with their own interpretation of the theory of causality and the theory of prāpti (attainment). Vasubandhu, who seemingly belonged to the Sarvāstivāda school in the later period of Abhidharma Buddhism, was not satisfied with the theories of Sarvāstivāda. Vasubandhu provided his own version of seed (bīja) theory, that is saṃtatipariṇāmaviśeṣa (specific transformation of the continuum). bīja and saṃtatipariṇāmaviśeṣa are meant for the explanation of an identical being in temporal sequence. It seems, however, that the seed theory is not effective as the theory of prāpti is when it is related to the momentariness. Vasubandhu saw the dilemma of Sarvastivada philosophy and gave his own solution. But, as Yaśomitra criticized, a seed is neither identical with, nor different from the mind, because seed is not a separate dravya (real entity) but only a prajñapti dharma (designation).

목차

Ⅰ. Introduction
1. The speculation on person in the Vedic period
2. The speculation on person in the Upaniṣadic period
Ⅱ. The speculation on person in Early Buddhism
Ⅲ. The problem of personal identity in Abhidharmakośabhāṣya
1. Momentariness and identity of person in Abhidharma Buddhism.
2. Identity of person in Pudgalaviniścaya
Ⅳ.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경아(Choi Kyung Ah). (2016).인도불교에 있어 개인의 정체성과 자기동일성 문제의 전개. 불교연구, 44 , 9-35

MLA

최경아(Choi Kyung Ah). "인도불교에 있어 개인의 정체성과 자기동일성 문제의 전개." 불교연구, 44.(2016): 9-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