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咸州誌 편찬 및 구성의 역사지리적 특징

이용수 484

영문명
Geographical Characters in the Publication and Composition of Hamjuji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최원석(Won suk Choi)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27권 제3호, 18~38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함주지』는 조선전기의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조선후기의 『여지도서』로 이어지는 가교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이후에 편찬되는 사찬 읍지의 모범이 되었다. 『함주지』의 細目數를 여타 전후의 함안 지지와 비교해보면 큰 차이가 나 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지리정보를 충실히 수록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함주지』는 항목 구성에서 京師相距와 四隣疆界를 제일 앞에 배치함으로써 지리적 특성을 잘 드러냈다. 민의 생활사와 관련된 각 마을의 風土, 호구·전결은 책의 앞으로 두고 강조했다. 마을의 士族에 대한 관심이 공통적으로 들어 있는 것도 특징이다. ‘堤堰’과 ‘灌漑’를 새 항목으로 추가하여 자세히 서술한 것은 유교적인 經世濟民의 시선으로써 의미가 있다. 17개 各里社壇의 위치 정보를 수록한 것을 통해 里 단위로 社壇을 갖추고 있었음도 새롭게 확인된다. 『함주지』(규 17452:咸安郡邑誌) 後輯의 1, 2권 사이에 수록된 지도는 『여지도서』 함안군에 수록된 지도를 바탕도로 하여 모사하고 지명정보를 보충한 것으로 보인다. 『함주지』는 이후에 편찬된 지리지에 큰 영향을 주었다. 16세기-17세기를 대표하는 『진양지』, 『영가지』 등의 주요 사찬 읍지는 『함주지』를 모델로 편찬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진양지』는 거의 『함주지』 편제와 일치하고 있어 그 영향력의 큰 비중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Hamjuji acted as a bridge between Donggukyeojiseungram of the middle Joseon period and Yeojidoseo of the late Joseon period. It served as a pattern for other private Up-chies that published since then. Hamjuji contained local geographical information detailedly due to its item numb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any other Haman Up-chies. It presented a geographical character to dispose the items Gyeongsasanggeo and Saringanggue at the top. The items of each villages like Natural features, Household and Population, Cultivating area were laid stressed in front of contents. Also, Hamjuji had a feature paying attention to the local gently. The items Dam and Irrigation were added that reflected in the perspective of Confusion scholar for administrating the local county to relieve the people´s suffering. It verified that each villages had a Sadan in Haman region for their site information. Hamjuji affected strongly to next Up-chies published in 16-17th like Jinyangji and Younggaji etc. Especially, the formation and compositon of Jinyangji were very similar with Hamjuji.

목차

1. 머리말
2. 『함주지』의 편찬 배경
3. 『함주지』구성의 성격과 특징
4. 『함주지』의 지리적 항목 분석
5. 요약 및 맺음말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원석(Won suk Choi). (2015).咸州誌 편찬 및 구성의 역사지리적 특징. 문화역사지리, 27 (3), 18-38

MLA

최원석(Won suk Choi). "咸州誌 편찬 및 구성의 역사지리적 특징." 문화역사지리, 27.3(2015): 18-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