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韓國 古代 琉璃구슬의 特徵과 展開樣相

이용수 423

영문명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Glass Beads in Ancient Korea
발행기관
중앙문화재연구원
저자명
박준영(Park Jun Young)
간행물 정보
『중앙고고연구』제19호, 71~109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2.28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유리구슬에 대한 이해를 위해 외형적 속성을 기초로 삼아 화학조성 분석과의 연결과 같은 학제 간 연구를 시도했다. 특히 한국 고대 유리구슬의 시·공간적인 특징과 전개양상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유리구슬 중 환옥(丸玉)을 대상으로 삼아 한반도 중부 이남에서 비교적 많은 화학조성이 밝혀진 24개소의 유적을 선정했다. 또한 당시 고대의 정치체인 마한-백제권역, 진한-신라권역, 변한-가야권역으로 나누어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검토방법은 유리구슬의 여러 속성 중 화학조성을 중심으로 색상, 제작기법, 크기를 정리하였다. 검토결과 유리구슬은 첫째, 포타쉬유리에서 소다유리로 전환되며, 소다유리 내에서도 화학조성상의 변화가 있다는 점, 둘째, 백제권역과 신라-가야권역은 서로 다른 유통망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 셋째, 주된 제작기법은 Drawn기법이라는 점, 넷째, Drawn기법은 이른 시기에 완성되어 장기간 지속된다는 점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들을 근거로 고대 유리구슬의 전개양상은 크게 3단계, 세부적으로는 4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결국 고대 한반도 유리구슬의 특징은 전반적으로 유사한 변화상을 보이나, 5세기 이후부터는 각 권역별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이는 백제와 신라-가야권역이 서로 다른 유리를 사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he development of ancient Korean glass beads were studied through interdisciplinary analyses of the glass beads in terms of outward appearance and chemical composition. A particular focus was on Hwan-ok(丸玉), a type of glass beads, from twenty-four archeological sites in the southern Korean Penninsula, one of the greatest number of known chemical composition analyses of glass beads.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of glass beads originating from different political units such as Mahan(馬韓)-Baekje(百濟) region, Jinhan(辰韓)-Silla(新羅) region, and Byeonhan(弁韓)-Gaya(伽倻) region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Of the various characteristics, chemical composition, color, production technique, and size were examined.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points: First, Potash Glass changes to Soda Glass; there is also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within Soda Glass. Seco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Baekje region and Silla-Gaya region had different distribution routes. Third, the major production technique was the Drawn technique. Four, the Drawn technique was completed at an early period and lasted for a long time. Based on these observations, the development of ancient glass beads can be divided broadly into three stages, and specifically into four stages. In conclusion, ancient Korean glass beads show similar development in general; however,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changes after the fifth century. This implies that Baekje region and Silla-Gaya region used different glass.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유리구슬의 속성과 대상 유적
Ⅲ. 유리구슬의 특징
Ⅳ. 유리구슬의 전개양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준영(Park Jun Young). (2016).韓國 古代 琉璃구슬의 特徵과 展開樣相. 중앙고고연구, (19), 71-109

MLA

박준영(Park Jun Young). "韓國 古代 琉璃구슬의 特徵과 展開樣相." 중앙고고연구, .19(2016): 71-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