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삼국시대 사(師)에 관한 연구 - ‘박사’ 명칭을 중심으로

이용수 354

영문명
A Study on the Instructor in the Three Kingdom -on the Term of 'Paksa'(博士)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김성혜(Kim, Sung-Hye)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30권 제1호, 73~9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2.28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사’(師)에는 운사·우사·조사 등에서 다스림[治]의 의미, 사교(師敎)에서 가르침[敎]의 의미, 그리고 화사·채약사 등에서 능통함[能]의 의미 등이 내포되어 있다. 당시 이러한 ‘사’의 역할을 수행한 대표적 관직이 바로 ‘박사’이다. 박사는 고대사회에서 학문이나 전문적 기술에 종사하던 사람에게 내린 관직 내지 존칭으로, 크게 유학계통과 기술계통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에 ‘가르침’의 의미가 강하다면 후자에 ‘능통함’의 의미가 강하다고 하겠다. 고구려에 기록상 박사 명칭이 처음 등장한 것은 600년이지만, 이보다 훨씬 앞서 박사의 존재를 추정케 하는 기록이 있으며, 박사 관련 명칭으로 국자박사, 대학박사, 대학사 등이 등장한다. 백제는 375년 박사 명칭이 처음 등장한 이후 6세기초반 유학계통의 오경박사가 등장하고, 6세기후반 ‘태학’이라는 교육기관의 존재를 추정케 하는 기록이 등장하며, 이후 유학계통에 국한되지 않고 역박사, 의박사, 노반박사, 와박사 등으로 전문적 기술자에게도 박사 호칭이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박사의 관등으로 고덕(9위), 나솔(6위), 장덕(7위) 등이 있는데, 유학계 통의 오경박사의 관등이 기술계통의 역박사, 의박사, 노반박사의 관등보다 결코 높지 않은데서 당시 기술자에 대한 인식을 알 수 있다. 한편, 신라는 651년 박사 명칭이 처음으로 등장한 것으로 추정되나, 금석문자료에는 훨씬 이전부터 박사 명칭이 등장한다. 일찍이 비석 제작 기술자로 추정되는 탁부박사(524년)에 이어 주종박사(771), 전자박사(872) 등의 명칭이 나타나는데, 이들 박사들은 대체로 기술계통에 능숙한 기술자로서, 장인들을 거느리고 해당 작업을 맡은 우두머리들을 가리키며, 그 기술의 정도에 따라 대박사와 차박사, 혹은 대박사와 조박사의 구분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고대사회에서 박사의 임무는 교육기관에서 『상서』를 비롯한 오경을 가르치기도 했고, 의·역·산·천문·누각·노반·와·주종·전자 등 전문적인 기술을 전수키도 했으며, 『신집』·『서기』등 역사서를 편찬하기도 했고, 때로 외교적 임무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들의 자질과 고과에 대한 기록은 빈약한데, 그마저도 인품과 학식을 총체적으로 평가하지 않고 ‘경명’과 ‘강 학’으로 인지적 측면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terms of teaching person since old times were Sa(師), Bu(傅), Sabu(師傅), Sayu(師儒), Sajang(師長), Paksa(博士), Kyokwan(敎官), Hakkwan(學官) et al. The term of Paksa which appeared frequently in the documents of ancient times designate the person which have a full knowledge or skilled. In the educational history especially, the term of Paksa is an official post or a title of honor which was allowed the person was employed himself on scholarship or expert skill in the ancient times. In Goguryŏ(高句麗), the term of Paksa appeared in 600 for the first time, but there is a document which is presumed existence of Paksa earlier than this. And the term of Paksa are KukjaPaksa(國子博士), DaehakPaksa(大學博士), DaehakSa(大學士). In Baekje(百濟), the term of Paksa appeared in 375 for the first time, and in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the Paksa of the Five Classics(五經博士), and in the latter half of the 6th century, the Taehak(太學) as a state educational institution. After that time, the term of Paksa is used a technical expert, for example, YŏkPaksa(曆博士,an almanac), ŬiPaksa(醫博士,a doctor), NobanPaksa(露盤博士), WaPaksa(瓦博士). In Silla(新羅), the term of Paksa appeared in 651 for the first time, but it had been appeared a long time ago in the materials in ancient monumental inscriptions. The term of TakbuPaksa(啄部博士,a technical expert who manufacturing a stone monument), ChujongPaksa(鑄鐘博士,a technical expert who manufacturing a bell), ChŏnjaPaksa(鐫字博士,a technical expert who inscribing letter on the copperplate et al.) appeared, these Paksas were a technical experts. And the classification of DaePaksa(大博士) and ChaPaksa(次博士), DaePaksa(大博士) and ChoPaksa(助博士) were made up of the degree of technique. The duty of Paksa were teaching of the Five Classics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raining of expert teniques, for example, medicine, arithmetic, astronomy, and editing of a history, for example, 『Sinjeep』(新集), 『Seogi』(書記), and discharging of diplomatical duty. But the records of the qualification and evaluation of Paksa are poor, as well overemphasize intellectual training.

목차

Ⅰ. 머리글
Ⅱ. ‘사’ 관련 명칭
Ⅲ. 삼국의 박사제도
Ⅳ. 박사의 임무와 자질 및 고과
Ⅴ. 꼬리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혜(Kim, Sung-Hye). (2016).삼국시대 사(師)에 관한 연구 - ‘박사’ 명칭을 중심으로. 교육사상연구, 30 (1), 73-99

MLA

김성혜(Kim, Sung-Hye). "삼국시대 사(師)에 관한 연구 - ‘박사’ 명칭을 중심으로." 교육사상연구, 30.1(2016): 73-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