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천유지유량 산정방법의 개선과 적용
이용수 283
- 영문명
- Improvement of Instream Flow Evaluation Methodology and Applicati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강성규(Kang Seong kyu) 유철상(Yoo Chul sang) 이동률(Lee Dong ryul) 최시중(Choi Si ju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6권1호, 295~30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하천유지유량이란 수 생태계 및 하천과 관련이 있는 다양한 자연 자원의 보호와 보전을 위해 하천에 남아 흘러야 하는 물이다. 우리나라에서 하천유지유량의 개념이 처음 법에 나타난 것은 1960년대이다. 이후 1990년대 중반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이 만들어졌고 하천법에 하천유지유량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게 된다. 1990년대 후반 주요 하천에 대해 하천유지유량이 산정되었으며, 국가가 2006년 이들하천유지유량을 고시하고 관리하고 있다. 2009년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이 개정되었고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전국단위의 하천유지유량 재산정 사업을 수행하였다. 그 과정에서 추진된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영향으로 본류구간을 제외한 지류하천의 하천유지유량이2015년 고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하천유지유량의 개념과 산정방법을 법과 제도적 측면, 기술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또한하천수 사용을 고려한 개선방법으로 유황을 고려한 수문학적 방법의 도입과 필요유량 항목을 현행 8개에서 4개로 조정하고 그 목적을분명히 해야 함을 제시하였으며, 금강유역에서의 적용결과를 함께 나타내었다.
영문 초록
The instream flow is the flow that should be remained in the river for protecting aquatic ecosystem and various natural resources. The first appearance of its concept was 1960’s in the law of the Korea. ‘Instream Flow Guideline’ was built in mid 1990s by government and the term ‘instream flow’ appeared in the Korean River Act. In late 1990s, instream flows for major rivers were calculated and officially notified in 2006 for management and monitoring. ‘Instream Flow Guideline’ revised in 2009 and nation wide evaluation project of instream flow had conducted from 2007 to 2011 according to this new guideline. After this project, the instream flows of tributaries was made to public announcement in 2015. The concepts of instream flow abide by time periods, laws and regulations are shown in this study. Hydrological method which contains concept of natural flow regime is essential for evaluating instream flow. Also requirement flows of instream flow should be decreased to 4 types from present 8 types. This new evaluation method applied in the Keumgang river.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해외의 하천유지유량과 환경유량
3. 우리나라의 하천유지유량
4. 하천수의 사용과 하천유지유량의 관리
5. 하천유지유량 산정방법의 개선방향
6.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주시 화재 위험도 분석
- 지표평균법 및 PROMETHEE 결과 종합에 의한 홍수위험도 분석
-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 강판보강 효과에 관한 해석적 연구
- 류큐해구 단층 지진원을 고려한 지진해일 침수예상도
- 단일 저수지 운영에서 우선 수리권 영향성 평가
- 시 ·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유역규모의 PMP 산정방법 개발
- 도시홍수 예측을 위한 레이더 적정 관측주기 분석
- 이중편파레이더 강우추정 알고리즘의 국내 적용성 평가
- 기후예측 시나리오 기반의 단기가뭄피해 예측기법
- 수충격압을 고려한 상수관망의 안전도 및 신뢰성 해석
- 읍면동 주민센터건물의 재난대응 기능에 관한 연구
- 내배수시설 경계 재설정에 따른 내수침수 저감효과 분석
- 빈도분석을 통한 온실의 설계 적설심 평가
- 서울 지역 건축 문화재를 위한 지반 공학 관점에서 본 지진 재해 위험도 평가
- 유역 치수효과 분석을 통한 재해영향평가의 필요성 제고
- CSEOF 분석을 이용한 CMIP5 GCM들의 모의 성능 평가
- 강합성 중공 RC 기둥의 기둥-기초 접합부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장변위공내재하시험기를 이용한 철도교 기초의 p-y곡선에 관한 연구
- 토사적체를 고려한 우수관망의 신뢰도 분석
- 불확실성을 유발하는 매개변수와 입력자료 결정을 위한 수정 Pedigree Matrix 분석
- 지표수문해석모형의 국내유역의 적용성 비교 · 평가
- 국내 하천환경평가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서울시의 도시특성을 고려한 사회경제적 재해 취약성 평가
- 보강두께 및 방법에 따른 실리콘 폴리머 구조용 실링재의 부착성능 평가
- 도로복구를 위한 레고식 차도블록 시스템의 동적 해석
- 앙상블 하천유량 예측 기법과 용수 감량공급 기법을 이용한 합천댐의 가뭄 시 운영 방안
- 유공형 강판으로 전단 보강한 넓은 보의 전단강도 설계 규준 비교 분석
- 확률강우량 산정 방법에 따른 한강유역의 설계홍수량 변화에 관한 연구
- 하천유지유량 산정방법의 개선과 적용
- ISD기법에 기반한 DRR WBI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도시지역 오프라인 빗물저류조 운영방법 개발
- 토지이용특성을 활용한 도시유역 중소하천 분류기준
- 폭염에 의한 지역별 인명피해 발생에 관한 연구
-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강우발생 판단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가강수량의 효용성평가
- 시뮬레이션 기반 건설 공사 사고위험 평가 방법론
- 다목적 터널의 침수 시 비상 대응에 관한 연구
- 관 내 물-토사 혼합물의 이상유동 해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Innovative Design of Excess Electricity Usage from an Islanding Micro-Hydroturbine System as an Alternative to Dump Load. A Case Study of Hhaynu River - Mbulu, Tanzania
- 저에너지 최적가용기법을 적용한 미세기포의 부상효율 최적화
- 조류 독소 제거를 위한 최적가용기법(BAT)으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활용한 MC-LR 저감 성능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