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단일 저수지 운영에서 우선 수리권 영향성 평가
이용수 64
- 영문명
- Evaluation of the Impact of Priority Order Water Rights on Single Reservoir Operati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태진(Kim Tae Jin) 김정호(Kim Jung Ho)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6권1호, 221~22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도시화로 인한 지구 온난화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기후 및 자연환경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인구증가에 따른 물 부족 현상은 새로운 저수지 건설로 지속 가능한 수자원 개발이 불가능한 현 상황에서 더욱더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제한된 물 사용에 대한 효율적인 배분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사용 가능한 물에 대한 권리, 즉 수리권에 대한 자료 조사가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국내 수리권에 대한 자료는 국가 수자원 관리 종합 정보 시스템(WAMIS)에서 특정년도에 생활, 공업 및 농업용수에 대한 정보가 권역,시도 및 하천등급별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텍사스 WAM 시스템 중 WRAP 모델을 다목적댐인 소양강댐에 적용하였다. 월별유량, 증발량 및 강수량은 WRAP 모델의 입력값으로 활용되었으며 수리권 정보는 자연 순위 및 우선 순위의 두가지 형태로 활용되었다. 모델 적용 결과 두 수리권 형태에 따라 홍수기, 평수기, 및 가뭄에 따라 다른 형태의 저수지 운영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Nowadays, global warming derived from urbanization makes impact on the climatical and natural environment in the world. Also, water shortage from sharp population growth has increased because of impossible condition of the new reservoir construction that is one of sustainable water resource development. Accordingly, data survey for water rights have been required for limited water resources distribution effectively. Now,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WAMIS) has gathered domestic water rights data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as follows: living, industrial, and agricultural use purposes for specific year based on watershed, basin, river size. In this study, Water Rights Analysis Package (WRAP), one component of Texas Water Availability Model (WAM) system, is applied to multi-purpose Soyang Dam with monthly flow, evaporation, and precipitation. Also, water rights data are utilized into two types: natural and priority order water rights. The applic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wo types of water rights provided the insight for establishing various reservoir operation plans under flood, normal, and drought periods.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WRAP 모델
3. 예 제
4. 적 용
5. 요약 및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주시 화재 위험도 분석
- 지표평균법 및 PROMETHEE 결과 종합에 의한 홍수위험도 분석
-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 강판보강 효과에 관한 해석적 연구
- 류큐해구 단층 지진원을 고려한 지진해일 침수예상도
- 단일 저수지 운영에서 우선 수리권 영향성 평가
- 시 ·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유역규모의 PMP 산정방법 개발
- 도시홍수 예측을 위한 레이더 적정 관측주기 분석
- 이중편파레이더 강우추정 알고리즘의 국내 적용성 평가
- 기후예측 시나리오 기반의 단기가뭄피해 예측기법
- 수충격압을 고려한 상수관망의 안전도 및 신뢰성 해석
- 읍면동 주민센터건물의 재난대응 기능에 관한 연구
- 내배수시설 경계 재설정에 따른 내수침수 저감효과 분석
- 빈도분석을 통한 온실의 설계 적설심 평가
- 서울 지역 건축 문화재를 위한 지반 공학 관점에서 본 지진 재해 위험도 평가
- 유역 치수효과 분석을 통한 재해영향평가의 필요성 제고
- CSEOF 분석을 이용한 CMIP5 GCM들의 모의 성능 평가
- 강합성 중공 RC 기둥의 기둥-기초 접합부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장변위공내재하시험기를 이용한 철도교 기초의 p-y곡선에 관한 연구
- 토사적체를 고려한 우수관망의 신뢰도 분석
- 불확실성을 유발하는 매개변수와 입력자료 결정을 위한 수정 Pedigree Matrix 분석
- 지표수문해석모형의 국내유역의 적용성 비교 · 평가
- 국내 하천환경평가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서울시의 도시특성을 고려한 사회경제적 재해 취약성 평가
- 보강두께 및 방법에 따른 실리콘 폴리머 구조용 실링재의 부착성능 평가
- 도로복구를 위한 레고식 차도블록 시스템의 동적 해석
- 앙상블 하천유량 예측 기법과 용수 감량공급 기법을 이용한 합천댐의 가뭄 시 운영 방안
- 유공형 강판으로 전단 보강한 넓은 보의 전단강도 설계 규준 비교 분석
- 확률강우량 산정 방법에 따른 한강유역의 설계홍수량 변화에 관한 연구
- 하천유지유량 산정방법의 개선과 적용
- ISD기법에 기반한 DRR WBI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도시지역 오프라인 빗물저류조 운영방법 개발
- 토지이용특성을 활용한 도시유역 중소하천 분류기준
- 폭염에 의한 지역별 인명피해 발생에 관한 연구
-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강우발생 판단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가강수량의 효용성평가
- 시뮬레이션 기반 건설 공사 사고위험 평가 방법론
- 다목적 터널의 침수 시 비상 대응에 관한 연구
- 관 내 물-토사 혼합물의 이상유동 해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Innovative Design of Excess Electricity Usage from an Islanding Micro-Hydroturbine System as an Alternative to Dump Load. A Case Study of Hhaynu River - Mbulu, Tanzania
- 저에너지 최적가용기법을 적용한 미세기포의 부상효율 최적화
- 조류 독소 제거를 위한 최적가용기법(BAT)으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활용한 MC-LR 저감 성능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