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禪門拈頌集說話』의 간행과 선어구의 특징

이용수 197

영문명
A Study of Seon terminology shown in The Seon Mun Yeom Song Zip(『禪門拈頌集』) and Seon Mun Yeom Song Zip Shul Hua(『禪門拈頌集說話』)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이영석(Lee Yeong seok)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44輯, 74~104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2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禪門拈頌集』의 회편집에 해당하는 『禪門拈頌集說話』에 대한 착안이다. 고려 修禪社2세 진각국사 혜심에 의해 편찬된 『禪門拈頌集』은 高宗21년(1234년) 慧諶이 입적하자, 제자 覺雲에 의해 347칙의 화두를 첨가하여 1472칙으로 재편하고 어구를 가려서 뽑고, 거기에 해설을 붙여 30권 5책의 『禪門拈頌集說話』(이하 『염송집설화』)로 出稿하였다. 그 후 1243년 萬宗의 재정적 지원으로 1244년부터 1248년 사이 南海分司에서 再雕本으로서 판각되고 再彫大藏經補遺版에 입장되었다. 그러나 『염송집설화』는 한동안 그 판본이 감추어졌다가 조선 후기인 숙종 12년(康熙25년, 1686)에 天隱子三敎了父가 고본을 찾아내어 혜심의 『선문염송집』과 각운의 『說話』를 회편하여 重刊拈頌說話序를 붙이고 『염송집설화』를 개판하였다. 『염송집설화』의 판본은 妙香山禪定菴에서 숙종 10년(康熙23년, 1684)에 始刻하여 安州에서 간행한 서울대 규장각 소장본 『회편선문염송집설화』가 있다. 이 판본의 대교영인본은 월운스님의 『선문염송·염송설화』(동국역경원, 2005)에 각각 영인하여 편집되어 있다. 이 『회편선문염송집설화』에서는 고칙에 大覺世尊釋迦文佛, 兜率, 周行등으로 칙명을 달아서 음각하고, 아울러 說話를 添入하고 會編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본 고찰은 이 점에 착안하여 다음과 같이 크게 다섯가지로 나누어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첫째, 여타의 다른 공안집과 달리 전등의 계보에 따라 선사의 명호를 앞세우기보다는 고칙 공안 제목으로서의 명칭(이하 칙명)을 정하고 음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에 칙명을 통하여 화두어를 제시한 것은 수선사의 가풍에 적합한 화두참구법을 시도하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을 수도 있다. 『회편선문염송집설화』에서 보이는 칙명은 혜심의 제자 각운에 의한 어구의 제시일 수 있으므로 『회편선문염송집설화』의 독특한 편집체계를 통하여 13세기 후반 수선사에서 엿보이는 칙명의 선어구활용에 대한 화두참구법을 이해할 수 있다. 둘째, 『염송집설화』에서는 포괄적인 표현의 문형이 있는데, 흔히 徵·拈·代·別·頌·歌·着語등이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몇 가지로 분류해보면 염송자가 의도하는 문형이 보인다. 이것으로서 화두에 코멘트하는 문형의 용어를 제시하였다. 셋째, 『염송집설화』에서는 염송자의 명호가 생략된 채 표기된 인명어의 특징이 보인다. 이와같은 인명어를 정리해보면 수선사의 대혜종고 이후 선사상적 계통과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넷째, 『염송집설화』에서 각운은 공안에 대하여 경전 및 제반 문헌의 전거를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한 연구는 다방면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선문염송집』에 한하여 그 전거의 경전 및 기타 문헌류를 대조 및 평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염송집설화』에서 각운에 의해 제시되고 있는 선종 소의경전 및 선전적류는 수선사의 사상적 교류의 흔적이며 후기의 소의경전 및 수선의 지침서로서 전거의 경전 및 기타 문헌류의 색인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 특히 각운의 ‘설화’는 고칙과 염송에 대하여 중첩적으로 선어구를 제시하고 해설하였다. 三敎了父의 重刊拈頌說話序에 의하면 ‘공안에 대하여 해설하는 것는 선가에서 중요시하지 않는 일이지만 그의 설화는 붓끝에서 舍利가 나타났다. 눈 안에서 번쩍 깨달음을 증득하기도 하니, 그 공덕을 가볍게만 넘길 수는 없다’고 한다. 거듭 선어구를 발췌하여 제시하고 해설한 각운의 설화는 당시 화두참구의 의미를 전해주는 것이다. 다섯째, 결국 선어구는 간화선과 관련되어 있다. 염송집, 공안집뿐만 아니라 어록과 전등사서류에서 제시하고 있는 선어구는 화두로서 입문자를 통하여 불립문자의 세계로 이끌고 있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난해함과 언어문자에 대한 병통과 해오 등의 난제가 있다. 그러나 화두를 통하여 선어구를 발췌하고 있는 각운의 편집을 고려한다면 이 또한 문자에 의한 병통을 차단하고자 하는 시도일 것이다.

영문 초록

Consider Koryoe 修禅社 Second generation compiled by the advance of the Hyesim The Seon Mun Yeom Song Zip(『禪門拈頌集』) 高宗 21 years (1234) 觉雲 disciples by the Meditation on the Buzzword of 347 was added to the 1,472Chick reorganized and phrases there is commentary on the word-file extracted obscure thirty books to The Seon Mun Yeom Song Zip Shul Hua(『禪門拈頌集說話』) was published. The Seon Mun Yeom Song Zip(『禪門拈頌集』) was included in 再彫大藏經 補遺版. However, The Seon Mun Yeom Song Zip Shul Hua(『禪門拈頌集說話』) was hidden for some time that, this edition of the late Joseon Dynasty Sukjong(肅宗)’12year(1686) on the Cheuneunja Samkyoyobu(天隱子 三敎了父) was published again, The Seon Mun Yeom Song Zip Shul Hua(『禪門拈頌集說話』) to attach to “The Re-published preface of Yeom Song Zip Shul Hua”「重刊拈頌說話序」 in Mt. Myohyang The Hermitage of Seon-jeung 妙香山 禅定庵 Joseon Dynasty Sukjong(肅宗) 10year(1684) published in (Keep the Seoul National kyujanggak) Photoprint edition of this bridge is WolUn Master’s The Seon Mun Yeom Song·Yeom Song Shul Hua(『禪門拈頌·拈頌說話』), (Dongguk yeokgyeongwon, 2005), respectively, to be edited by spirit. Gochik(古則) on here 大覺世尊 釋迦文佛, 兜率, 周行 etc such as engraved by strapping Chikmyeong, to form In this lecture and imitation. Focusing first, on the details here, unlike another text according to the seon-master. Gochik engraved with the name of the title shows the name of the index, for such gochik seon-word through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Daffodils by this point in the rhyme of seon-word, or it can be established and presents the will unique story editing system so take advantage of seon-word. The name of gochick the need for review. Second, the rhyme of “narrative” is repeated presenting languages gochik showing respect and yeomsong be commenting. Third, a comprehensive representation of the sentence that YeomSong, which often 徵·拈·代·别·颂·歌·着 语 type instead, such as The Seon Mun Yeom Song Zip(『禪門拈頌集』) but some of the detail can be represented by the sentence. You need this to be settled as seon-word is multi.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life as seen in word is omitted in the notation in the light sector Yeomsong life’s dictionary needs to be presented separately. Fifth, the scriptures and the various documents to be presented to that authority. For the handbook should be capable of indexing terms. A index of scripture and other literature swift advance through this work is also needed.

목차

국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禪門拈頌集說話』의 간행과 칙제명
Ⅲ. 『禪門拈頌集說話』의 선어구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석(Lee Yeong seok). (2015).『禪門拈頌集說話』의 간행과 선어구의 특징. 보조사상, 44 , 74-104

MLA

이영석(Lee Yeong seok). "『禪門拈頌集說話』의 간행과 선어구의 특징." 보조사상, 44.(2015): 74-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