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나혜석 문학의 공간과 젠더지리학

이용수 976

영문명
The Space and Gender-Geography of the Works of Na Hye-seok Focusing on Her Fiction and Drama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송명희(Song Myunghee)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6권 제3호, 49~77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나혜석의 소설과 희곡에 설정된 공간을 젠더지리학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나혜석은 「경희」에서 가부장적 질서가 지배하는 집을 탈주하는 여성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집을 탈주한 신여성은 「회생한 손녀에게」의 자취방, 「어머니와 딸」과 「현숙」의 여관과 같은 임시적인 체류지에서 거주한다. 그리고 「파리의 그 여자」의 경우 도 일시적인 여행지에 머문다. 하지만 그들은 임시적인 체류지에서 민족의식을 자각 하고 소설을 쓰며, 사람들과 친밀감을 나누고 서로를 보살피며, 사랑을 나누고 이별을 받아들인다. 그들은 가부장적 집의 허울뿐의 안도감에 집착하는 허상에서 벗어나 일시적 체류지지만 보다 더 넓은 공간에서 허울뿐인 안도감이 아니라 열린 안도감을 획득한다. 반면 「원한」과 「규원」에서 가부장적 집은 여성이 정절을 상실하자 그녀를 추방한다. 집으로부터 축출된 구여성은 자신만의 공간을 갖지 못한 채 남의 집 삼간대청이 나 더부살이 단칸방에서 장소상실을 경험하며 타자화 된 삶을 살아간다. 그녀들은 자신들의 억울함만을 호소할 뿐 허울뿐인 집과 허울 뿐의 안도감에 집착하는 허상을 벗어나지 못한다. 왜냐하면 그녀들은 가부장제의 허위의식을 통찰할 수 있는 근대교육을 받지 못한 구여성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녀들은 장소상실에 빠져 있을 뿐 일시적 체류지를 위험한 공간이 아니라 보호공간으로 만들며 참된 거주를 실현할 수 없다. 바로 여기에서 신여성과 구여성의 차이가 발생한다. 신여성이든 구여성이든 근대의 시기에 집이라는 공간은 여성이 진정으로 주체성과 자유를 실현할 수 없는 공간이었다. 신여성이 집이 아닌 자취방, 여관과 같은 일시 적인 체류지에서 주체성과 자유를 추구했다는 것은 그들의 삶의 불안정성을 나타낸 것이다. 하지만 가부장제의 허상을 통찰한 신여성들은 기꺼이 일시적이고 불안정한 공간을 그녀들의 자유와 주체성을 실현할 공간으로 변화시켜 나갔다. 반면 가부장제 의 피해자이면서도 가부장제의 허상을 통찰하지 못한 구여성들은 허울뿐인 집과 허울뿐인 안도감에 집착할 뿐 참된 거주를 위한 노력을 결여한 채 신세한탄에 빠져 있을 뿐이다. 나혜석의 문학적 공간은 모두 일시적인 체류지라는 공통점을 지니지만 자발적으 로 집을 나온 신여성은 그곳에서 주체성과 자유를 추구한 반면 집에서 강제로 축출된 구여성은 주체성과 자유를 실현할 수 없었다. 렐프의 장소개념에 의한다면 신여성이 머무는 자취방, 여관, 여행지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이며 진정한 장소감을 일으키는 장소지만, 구여성이 머무는 행랑채와 단칸방은 수동적이거나 강제적이며 비진정한 장소감(장소상실)을 일으키는 장소일 뿐이다. 나혜석은 신여성의 집으로부터의 자발적 탈주를 통해 가부장주의에 저항하는 페미니즘을 보여주었지만 강제적으로 집에서 축출된 구여성을 통해서는 가부장주의를 비판하는 페미니즘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space set in the short stories and plays of Na Hye-seok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geography. In “Gyeong-hee(경희)”, Na Hye-seok portrayed a woman who escapes from the home where the patriarchal order of the father dominates. However, the modern women who have escaped from the home lives in a rented room in Japan as shown in “To the Grand Dauter Who Revived(회생한 손녀에게)”, or in the poor and temporary places of sojourn like an inn as depicted in “Mother and Daughter(어머니와 딸)” and “hyeunsook(현숙)”. And in “The Woman in Paris(파리의 그 여자)”, too, the woman stays in momentary places in Paris, New York, and Wonsan Beach. But in those places of temporary sojourn, which are communities not bound by blood, they awake to national consciousness, write novels, get intimate with people, care for each other, and put open marriage into practice. In other words, they realize independence and freedom there. On the other hand, in “Sorrow of Woman(규원)” and “Resentment(원한)” the patriarchal home banishes the women who have lost their chastity. The old-fashioned women banished from home cannot find their own spaces, and live their lives as complete others in spaces like the floored room of someone else’s house or a small room as a resident servant. What the spaces in the works of Na Hye-seok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re all temporary places of sojourn. But while the modern women who have escaped from home of their own free will pursue independence and freedom, the old-fashioned women who have been forced out of their home experience alienation and otherness. That the modern women could not take root in a place, but sought independence and freedom in temporary places of sojourn such as rented rooms, inns, or holiday places shows the instability of their lives. But the old-fashioned women, who are expelled from home and live in servants’ quarters of someone else’s house or in small rooms as resident servants, experience far worse alienation and instability than the modern women. According to Edward Relph’s concept of place, the rented room, inn, holiday place where the modern women stay are places that arouse an active, independent and authentic sense of place; yet the servants quarters and small rented room where the old-fashioned women stay are places in which they experience passive, enforced and inauthentic sense of place, that is, places in which they experience placelessness. Through the voluntary escape of the modern women, Na Hye-seok showed a feminism that resists patriarchalism; yet through the old-fashioned women who were forced to get out of the home, she showed a feminism that criticizes patriarchalism.

목차

Ⅰ. 서론
Ⅱ. 나혜석 문학에 재현된 공간과 젠더지리학
1. 집으로부터의 탈주와 집 떠난 여학생의 방
2. 비혈연 대안가족을 모색하는 일시적 체류지
3. 집에서 축출당한 구여성의 불안정한 공간
Ⅲ.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명희(Song Myunghee). (2015).나혜석 문학의 공간과 젠더지리학. 인문사회과학연구, 16 (3), 49-77

MLA

송명희(Song Myunghee). "나혜석 문학의 공간과 젠더지리학." 인문사회과학연구, 16.3(2015): 49-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