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효석 소설에서의 ‘애욕’ 연구

이용수 355

영문명
A Study of Passion in Lee Hyo-suk’s Novels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박재익(Park Jaeik)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6권 제3호, 23~48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자신의 소설이 ‘에로티시즘’이라고 폄하한 당대의 평론가들에 대한 이효석의 항변을 기점으로 이효석이 말한 “생명 본연의 것”을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이효석의 소설이 ‘에로티시즘’이라고 이야기할 때, 그 핵심은 그의 소설이 당대의 현실, ‘생활’과 거리가 멀다는 판단에서 기인한다. 그리고 「화분」의 ‘푸른 집’과 같은 공간이 지닌 비일상적인 면모는 이러한 판단의 근거였다. 그러나 사실 텍스트를 더 꼼꼼히 읽어보면 「화분」, 「돈」, 「개살구」와 같은 텍스트들은 당대 의 사회/경제 질서에 대한 이효석의 입장을 분명히 드러낸다. 이 공간에서 인물들의 ‘자유로운 욕망의 발산’은 공간 외부에서 작동하는 힘에 의해서만 지속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기서 발견되는 것은 모든 인위적인 습속이 지워진 공간에 대해 매혹을 느끼는 시선 뿐 아니라 그러한 시선 자체를 대상화하는 서술자의 시선이다. 시선 자체를 대상화하는 서술자의 메타적 시선은 인위적인 습속으로부터 자유로운 것으로 상상되는 공간이 사실 현실적인 맥락들과 긴밀히 관련되어 있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포착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효석이 “애욕”을 소재로 삼아 그리고자 했다고 말하는 “생명의 동력”은 단지 원시적 본능으로서의 성욕만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여기서 “생명의 동력”은 사회적인 습속들이 모두 제거된 상태에서 발견되는 어떠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수많은 사회적 맥락들이 기입된 상태에서 발견된다. 요컨대 이때 “생명의 동력”은 현실을 ‘초월’하는 보편적 원리에 대한 상상이 아니라 현실적인 삶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구성되는 인간의 욕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tried to reinterpret “the life itself” in Lee Hyo-suk’s saying, starting from Lee’s answer against critics who rated his novels as ‘eroticism’. When we regard Lee’s novels as ‘eroticism’, the bottom line is that his novels kept themselves from contemporary reality. And the nonusual lifestyle in ‘the blue house’ in the pollen was a basis of these interprets. But if we read these texts more closely, we can find out that Lee’s novels shows his contemporary awareness of social/economical reality. The characters in his novels shows that the sexual desire can be exist based on the socio-economic contexts. Therefore, we can read two levels of perspective. The first one can be catched from the subject who is attracted by primordial places. The second one can be found from the narrator, who objectificate the first perspective. The second perpective exposes the fact that the primordial place can’t be exists itself. In this contexts, ‘the life itself’ can’t be regarded as the primitive instinct. ‘The life itself’ in not the thing that can be explored by erasing all the social conditions , but the thing tha can be construed as a mechanism which includes various social conditions registered.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애욕의 발견
1. 종묘장의 욕망
2. 시선을 소유하는 가부장, 시선을 관찰하는 서술자
Ⅲ. 욕망의 ‘자연성’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익(Park Jaeik). (2015).이효석 소설에서의 ‘애욕’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16 (3), 23-48

MLA

박재익(Park Jaeik). "이효석 소설에서의 ‘애욕’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16.3(2015): 23-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