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권근(權近)이 추구한 유교국가의 국왕상(國王像) 고찰

이용수 416

영문명
A Study on the Image of Kings of a Confucian Country Sought After by Gwon Geun
발행기관
포은학회
저자명
안장리(An, Jang-Li)
간행물 정보
『포은학연구』제15집, 135~16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이 유교국가가 되는 과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교국가의 키워드를 국왕으로 보고 조선 초기 대표적인 유학자 권근이 정립하려고 하는 국왕상을 조명해 보았다. 권근은 유학관련 저술과 상소를 통해 유교국가의 이상적인 국왕의 면모를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권근의 저술중『서천견록(書淺見錄)』과『시천견록(詩淺見錄)』, 그리고 상소 중에는 우왕에게 올린 3편의 상소와 정종에게 올린 1편의 상소 그리고 태종에게 올린 3편의 상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고에서는 권근이 이들 상소에서‘하늘, 부모, 백성, 자신, 신하’ 등 5요소에 대한 국왕의 태도 정립을 요구하고 있음에 착안하여 국왕상의 면모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권근이『서천견록』, 『시천견록』등 경서에 대한 견해에서 제시한 국왕상은 공경의 마음과 구덕(九德)을 갖추고 전조(前朝)의 신하들을 포용할 수 있는 모습이었다. 18세의 혈기방정한 나이에 권신의 꾀임으로 정사를 게을리 하고 놀이에 빠진 고려 우왕에게 요구한 국왕상은 밤에 자고 낮에 깨어있으며 바른 자세로 덕성을 함양하는 수양의 자세였다. 그러나 우왕은 방탕한 생활을 영위하다 결국 24세의 나이에 사약을 받고 죽게 된다. 정종에 대해서도 재미에 탐닉하지 말고 국왕으로서의 체통을 지킬 것을 건의하였다. 정종은 2차례의 걸친 왕자의 난이라는 격동 속에 곧 왕좌에서 물러났다. 태종에게는 국왕으로서의 자기 성찰과 학문정진, 부지런한 정사 외에 전조에 절의를 지킨 신하에 대한 포상과 왕과 백성을 위해 죽었음에도 제사할 후손이 없는 인물에 대한 여제(厲祭) 등을 베푸는 국왕상을 제시하였다. 이를 받아들인 태종은 정몽주와 같이 자신이 죽인 전조의 신하를 포상함으로써 국가와 왕조 위에 ‘절의’라는 이념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유교국가의 기반을 구축하게 된다. 권근은 우왕대부터 끊임없이 경연을 강조하는데 이는 성리학을 뿌리내리려는 조선 초기 상황에서 성리학으로 무장한 국왕을 만들려는 성리학자 권근의 기본적인 의도였다. 태종은 권근이 건의한 효의 강조 그리고 전조의절의에 대한 포상 등을 통해 유교국가의 기틀인 충효를 장려하고 실천하는 국왕상을 정립하게 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Joseon becoming a Confucian country. Under the goal, the study set kings as one of the keywords of Confucian country and examined the image of kings that Gwon Geun, one of the utmost Confucian scholars in the early days of Joseon, tried to establish. Gwon proposed the aspects of ideal king in a Confucian country by writing Confucianism-related books and submitting memorials. The study looked into two of his books, Seocheongyeonrok and Shicheongyeonrok, and seven of his memorials, which include three submitted to King Woowang, one to King Jeongjong, and three to King Taejong. Recognizing that he demanded that kings should establish an attitude toward five elements of “Heaven, parents, people, themselves, and subjects” in his memorials, the investigator examined what kind of attitude requested by him. In his views of Confucian classics in his Seocheongyeonrok and Shicheongyeonrok, he proposed an image of kings that had a heart of respect and nine virtues and was capable of embracing the subjects of the previous dynasty. In his memorial submitted to King Woowang of Goryeo, he especially emphasized cultivation of “oneself” to the king that was idle with political affairs and immersed in play at the age of hot-blooded 18 due to the temptations of a powerful courtier. Although he stressed that the king should cultivate his virtues in the right posture, sleeping at night and being awaken during the day, the king kept leading a dissipated life and ended up being killed by poison ordered as a death penalty at the age of 24. Gwon also suggested to King Jeongjong that he should prevent himself from indulging in fun and maintain his dignity as a king. The king was faced with a turmoil of prince’s uprising twice and ended up coming down from the throne. He proposed to King Taejong that he should work on self-reflection, devotion to study, and diligence with political affairs as a king, give rewards to the subjects of the previous dynasty that adhered to their principles, and hold a memorial service for those who died for the king and people and had no descendents to hold such a service for them. Gwon wanted that the king would grant rewards to the subjects of the previous dynasty that he killed such as Jeong Mong-ju, establish a concept of “fidelity” above country and dynasty, and solidify a foundation for a Confucian country that placed the highest values on ideology. Gwon continued to emphasize lecturing and study with kings since the reign of King Woowang, which was his basic intention as a Neo-Confucian scholar to equip a king with Neo-Confucianism in the early days of Joseon when Neo-Confucianism was about to take root in the country. By proposing an image of kings to Kings Jeongjong and Taejong, he established an image of kings that encouraged and practiced loyalty and filial piety, which were parts of the foundation of a Confucian country, by stressing filial piety and giving rewards for loyalty to the previous dynasty.

목차

1. 서론
2. 경서(經書)를 통해 추구한 국왕상
3. 고려 우왕에게 추구한 국왕상
4. 조선 정종에게 추구한 국왕상
5. 조선 태종에게 추구한 국왕상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장리(An, Jang-Li). (2015).권근(權近)이 추구한 유교국가의 국왕상(國王像) 고찰. 포은학연구, 15 , 135-160

MLA

안장리(An, Jang-Li). "권근(權近)이 추구한 유교국가의 국왕상(國王像) 고찰." 포은학연구, 15.(2015): 135-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