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설곡(雪谷) 정포(鄭誧) 시에 나타난 당시풍(唐詩風) 경향과 미적특질

이용수 181

영문명
The Tang’s Poetical Style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Appeared in Jungpo’s Poetry
발행기관
포은학회
저자명
하정승(Ha, Jung-Seung)
간행물 정보
『포은학연구』제15집, 103~13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설곡(雪谷) 정포(鄭誧)는 고려후기를 대표하는 시인 중 한 명이다. 그의 아들은 원재(圓齋) 정추(鄭樞)이고, 손자는 복재(復齋) 정총(鄭摠)인데 3대가 모두 문명을 떨치며 문학사에 이름을 남기고 있다. 전대의 비평가들은 정포 시의 가장 큰 특징으로 청려(淸麗), 섬미(纖美), 청절(淸絶)함을 꼽고있다. 청려・청절 등 청자계(淸字系) 시품(詩品)은 일반적으로 당시풍 한시에서 나타나는 주된 품격으로 알려져 있다. 섬미 역시 아름답고 세련된 시어의 구사와 시상의 전개에서 나오는 품격으로 당시와 관련이 깊다. 설곡시에 청자계 시품이 나타나는 것은 세속적인 물욕이나 명예와 거리를 두었던 그의 인생관과 관련이 있다. 또한 그의 선친대(先親代)부터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강직하고 꼿꼿한 선비정신도 그의 시세계 구축에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의 시단은 초기에는 신라 하대를 계승하여 당시(唐詩)의 영향을 받다가 성리학이 전래된 중기 이후에는 당대(當代) 중국의 시풍을 받아들여 송시(宋詩)의 영향 하에 있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이다. 그러나 사실은 고려후기에도 당시풍과 송시풍이 함께 공존하였다. 고려후기 문단에서 당시풍 한시 창작을 대표하는 시인들로는 홍간(洪侃), 정포(鄭誧), 안축(安軸), 정몽주(鄭夢周), 김구용(金九容), 이숭인(李崇仁)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런데 이들의 시풍이 대체로 모두 청신(淸新)・청려(淸麗)・청섬(淸贍) 등의 시품인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로 보면 고려후기의 당시풍 한시 창작은 세속적 가치와 거리를 두는 청자계 시품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고려말이라는 정치적・사회적 혼란과도 일정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고려후기 당시풍 한시 창작을 대표하는 시인이었던 정포를 통해 그의 시에 보이는 당풍적 요소가 무엇이며, 또 그같은 당풍적 시창작이 문학사에서 갖는 의미를 고찰해보았다. 더불어 고려후기 한시사에서 당시풍 한시의 전개과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정포의 당시풍 시쓰기, 특히‘청자계 시품’의 전통은 선배 홍간을 이어받고, 김구용과 이숭인으로 계승되었다가 멀리는 조선조 중엽 소위 삼당시인을 비롯한 당시풍 작가들의 시쓰기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Seolgok-Jungpo is a representative poet of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 Dynasty. His son is Wonjae-Jungchoo and his grandson is Bokjae-Jungchong. They all won literary fame and left their mark in literary history. The critics of a previous generation referred to the characteristic of Jungpo’s poetry as Chungjagye(淸字系)-Chungryo(淸麗), Seummi(纖美), Chunjul(淸絶). Chungryo(淸麗)and Chunjul(淸絶) are major dignity of Tang’s poetical style. Seummi(纖美) is also one of various dignity related to Tang’s poetical style and the characteristic of poetry written in refined and beautiful poetic word. The dignity of Jungpo’s poetry is related to his view of life. He is not interested in worldly success and honor. It is said that the poetical circles of Goryeo had been in succession to the late Silla’ poetry and had been influenced by Tang’s poetical style in early days. But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s poetry was affected by Song’s poetical style. At last both poetical style coexisted in late Goryeo Dynasty. The representative poets who wrote poems in Tang’s poetical style are Honggan(洪侃), Jungpo(鄭誧), Jungmongju(鄭夢周), Anchuk(安軸), Kimguyong(金九容), Leesungin(李崇仁).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ir poets have dignity of Chungsin(淸新)・Chungryo(淸麗)・Chunsum(淸贍). As this fact suggests, we know that the poems written in late Goryeo Dynasty developed into poems which have the dignity of Chungjagye(淸字系) ; being in opposition to worldly success and honor. This may be because it is associated with social and political chaos of late Goryeo Dynasty. In this script, I looked at Tang’s poetical style in Jungpo’s poetry and the meaning of Tang’s poetical styl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addition, I inspected the development of Tang’s poetical style in the history of late Goryeo Dynasty’s literature. As a result, the tradition of Tang’s poetical style in Jungpo’s poetry-the dignity of Chungjagye(淸字系) inherited Honggan’ poetry and continue to not only Kimguyong and Leesungin’ poetry but also Samdangsiin’s poetry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목차

1. 문제제기
2. 고려후기 한시의 당시풍(唐詩風) 경향과 전개양상
3. 설곡시(雪谷詩)에 나타난 섬미(纖美)한 시풍과 당풍적 면모
4.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정승(Ha, Jung-Seung). (2015).설곡(雪谷) 정포(鄭誧) 시에 나타난 당시풍(唐詩風) 경향과 미적특질. 포은학연구, 15 , 103-134

MLA

하정승(Ha, Jung-Seung). "설곡(雪谷) 정포(鄭誧) 시에 나타난 당시풍(唐詩風) 경향과 미적특질." 포은학연구, 15.(2015): 103-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