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부담감 및 관련 변인 연구 - 양부모 가구 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이용수 2592

영문명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care burden of parents hav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focus on the children’s life cycle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김영란(Young-ran Kim) 김고은(Go-eun Kim) 김소영(So-young Kim)
간행물 정보
『여성연구』통권 제88호, 117~164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부담감 및 관련 변인에 대해 자녀 생애 주기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연구는 발달장애 자녀에 대한 돌봄이 자녀가 성인이 되어도 지속되며, 부모의 전 생애에 걸쳐 수행되는 노동이라는 점에서 필요하다. 특히 자녀 생애주기에 따라 돌봄부담감의 내용이 달라진다는 점에서 하위영역(신체적 부담, 정서적 부담, 사회적 부담, 경제적 부담)별 차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자녀의 생애주기(아동기, 청소년, 성인기)에 따라 부모의 돌봄부담감 수준 차이를 알아보고, 돌봄부담감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라 돌봄부담감 차이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신체적 부담과 경제적 부담 영역에서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담감 정도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정서적 부담과 사회적 부담은 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자녀의 생애주기가 성인기로 전환될수록 부담정도가 줄어드는 신체적 부담과 경제적 부담과 달리, 정서적 부담과 사회적 부담은 자녀가 성인기로 전환되어도 동일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결국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는 자녀의 생애주기에 무관하게 정서적 부담과 사회적 부담을 지속적으로 느끼고 있다는 현실을 드러내주는 결과라고 하겠다. 자녀의 생애주기(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에 따라 돌봄부담감 하위영역(신체적 부담, 정서적 부담, 사회적 부담, 경제적 부담)에 대한 영향요인은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생애주기에 따른 신체적 부담 영향요인 분석 결과, 아동기는 장애등급, 신체적 건강상태, 배우자와의 갈등이, 청소년기에는 장애등급, 돌봄시간, 신체적 건강상태, 배우자와의 갈등이 유의미하였다. 특히 돌봄시간은 청소년기에 유의미하고 아동기에는 관계가 없어 차이를 보인다.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는 돌봄시간이 길수록 신체적 부담이 커지지만, 아동기는 돌봄시간이 늘어나도 신체적 부담 정도와 관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서적 부담에 대한 유의미한 요인은 아동기는 우울정도, 배우자와의 갈등이며, 청소년기는 장애등급, 부모연령, 우울정도, 배우자와의 갈등이다. 비교하면 장애등급은 아동기의 경우에는 유의미하지 않지만 청소년기에는 유의미한 요인이 된다는 점, 부모의 연령이 아동기와 달리 청소년기 자녀의 부모에게 유의미하게 영향을 준다는 점 등에서 차이가 있다. 사회적 부담은 아동기의 경우, 장애등급, 자녀 돌봄의 긍정감, 신체적 건강 상태, 배우자와의 갈등이, 청소년기의 경우 장애등급, 배우자와의 갈등이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아동기와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사회적 부담 요인 차이를 보면, 아동기에는 개인적 요인 중 자녀 돌봄의 긍정감과 신체적 건강상태가 영향을 끼치지만, 청소년기에는 개인적 요인과 관계가 없다는 점에서 다르다. 경제적 부담은 아동기 자녀 부모에게는 가구소득, 돌봄시간, 신체적 건강상태, 배우자와의 갈등이, 청소년기 자녀 부모는 신체적 건강상태와 배우자와의 갈등 요인의 영향이 유의미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성인기 자녀를 둔 부모에 대한 돌봄부담감에 대한 회귀분석은 4개 영역 모두 모델이 유의미하지 않아 아동기와 청소년기와 다른 양상을 보임이 확인된다. 결과적으로 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라, 돌봄 부담감의 영역에 따라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으며 각각에 대응하는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장애등급이 아동기와 청소년기 모두, 다수 영역에서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부담감에 장애등급이 중요한 요인임을 드러내주는 결과이다. 셋째, 가족지원 요인 가운데 배우자와의 갈등이 아동기와 청소년기 모두, 돌봄 부담감 4개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요인이다. 이는 장애 자녀 부모에게 배우자와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원 요인이 돌봄부담감 4개 영역 모두 유의미한 영향요인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이다.

영문 초록

As parents hav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high demand in care support, which requires parents’lifelong commitment over the course of their lifetime,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care burden according to children’s life cycle is especially needed. Different kinds of care burden should be notified such as physical, emotional, social, financial burdens according to the stages of children’s life cyc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arents’burden of care, an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burden of care throughout different stages of children’s life cycle.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analysis of variance result, the physical and financial burdens were the highest among parents with children in their childhood. However, the emotional and social burdens did not seem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means that physical and financial burdens were decreased as children grow older, but the emotional and social burdens kept in similar level. The sense of emotional and social burden to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hild care was quite stable, regardless of the children’s life cycle.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of the physical burden of caregiving by each stage of children’s life cycle, in their childhood, the degree of disability, the condition of physical health, conflict between spo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hildren’s adolescence, the degree of disability, care hours, the condition of physical health, conflict between spo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parents having children in their adolescence, care hours was a significant factor.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of the emotional burden of caregiving by each stage of children’s life cycle, in their childhood, the level of depression, conflict between spo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hildren’s adolescence, the degree of disability, parents’age, the level of depression conflict between spo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of the social burden of caregiving by each stage of children’s life cycle, in their childhood, the degree of disability, the positive sense of child care, the condition of physical health, conflict between spo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hildren’s adolescence, the degree of disability, conflict between spo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of the social burden of caregiving by each stage of children’s life cycle, in their childhood, household income, care hours, the condition of physical health, conflict between spo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hildren’s adolescence, the condition of physical health, conflict between spo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 analysis of four different burden model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only parents hav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ir adulthood. It means that according to children’s life cycle, the factor influencing the care burdens are different,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different the support services. Second, the degree of dis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in children’s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in physical, emotional, social burdens. It means the degree of disability is significant factor for parents hav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 conflict between spouse on the family lev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in children’s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in physical, emotional, social, financial burdens. It means the relationship with the spouse for parents hav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urth, it is significantly founded that the social support was not significant factor in four burden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란(Young-ran Kim),김고은(Go-eun Kim),김소영(So-young Kim). (2015).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부담감 및 관련 변인 연구 - 양부모 가구 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여성연구, , 117-164

MLA

김영란(Young-ran Kim),김고은(Go-eun Kim),김소영(So-young Kim).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부담감 및 관련 변인 연구 - 양부모 가구 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여성연구, .(2015): 117-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