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율곡(栗谷)과 퇴계(退溪)의 ‘흥(興)’ 공간에 대한 연구

이용수 185

영문명
A Study on Yulgok and Toegye 'Xing (a sort of delight)' Spaces Focusing on Sohyeon Seowon and Dosan Seowon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이난수 Lee NanSu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6권 제1호, 207~224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2.28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성리학을 대표하는 율곡과 퇴계의 작품에 표현된 ‘흥’과 그 공간을 탐구한 것이다. 작품에서 고산 구곡과 도산이라는 공간은 강학을 위해 서원을 세운 곳으로, 세상과 구별되는 장소이자 그들의 마음과 정신이 자연과 하나가 되는 공간이다. 즉 그들은 이러한 공간에서 눈앞에 펼쳐진 자연과 더불어 학문에 매진하며 정신적 자유의 상태를 경험하였다. 이를 테면 율곡의「 高山九曲歌 」(고산구곡가)는 해주 석담의 자연경관을 ‘구곡’으로 나누어 그곳에서의 삶을 노래한 작품이다. 고산 구곡의 아름다움과 그 안에서 느끼는 즐거움은 몸과 정신의 수양이 깊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陶山二十六詠」(도산이십육영)은 퇴계가 만년에 도산(陶山)을 경영 하면서 자신이 거주하는 공간을 읊은 시로, 자연의 이치를 깨닫고 그 이치를 통해 자연을 즐기는 모습이 담겨져 있다. 이렇듯 율곡과 퇴계의 작품에는 자연과의 일체감 에서 생성된 즐거움인 ‘흥(興)’이 표현되어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s and spaces of 'Xing(a sort of delight)' expressed in the works of Yulgok and Toegye, who were representative Neo‐Confucia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In their works, Gosangugok and Dosan were spaces not disconnected from the world but still distinguished from it, and they were 'Xing' spaces where mind and spirit become one with nature. In other words, they were not unrealistic ideational spaces but places where people experienced the state of mental freedom before nature open in front of them. Yulgok’s Gosangugokga is a poem that divided the natural scenery of Seokdam in Haeju into ‘Gugok (Five River Bends)’ and recited the life in the place. The beauty of Gosangugok and the joy of life in the beauty mean the profound cultivation of body and mind. Dosanisipyukyeong is a poem that Toegye composed on the space where he stayed while running the School of Dosan in his later years. This poem describes the poet’s realization of natural laws and his enjoyment of nature through the laws.

목차

Ⅰ.들어가며
Ⅱ.「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에 나타난 소현서원의 ‘흥(興)’ 공간
Ⅲ.「도산이십육영(陶山二十六詠)」에 나타난 도산서원의 ‘흥(興)’ 공간
Ⅳ.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난수,Lee NanSu. (2015).율곡(栗谷)과 퇴계(退溪)의 ‘흥(興)’ 공간에 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16 (1), 207-224

MLA

이난수,Lee NanSu. "율곡(栗谷)과 퇴계(退溪)의 ‘흥(興)’ 공간에 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16.1(2015): 207-2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