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法隆寺 金堂 金銅釋迦三尊佛像의 光背 紋樣 硏究

이용수 720

영문명
A study on Halo pattern of Gilt Bronzed triptych Buddhist statue at Kondo ,Horyuji
발행기관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저자명
고승희 Seunghee Koh
간행물 정보
『일본불교문화연구』일본불교사연구 1호, 111~139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본의 중요문화재 중 호류지에는 7세기에 조성한 금동불상과 목불상들이 완벽에 가까운 상(像)으로 전래되고 있다. 그런데 이 불상들은 우리나라 삼국시대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호류지 (法隆寺)가 창건된 아스카시대(飛鳥時代)의 불교미술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불교미술 연구에도 반드시 필요한 과제가 될 것이라고 생각 한다. 본 논고에서는 이러한 중요성을 갖추고 있는 호류지(法隆寺)의 유물 중에서 최고의 가치성을 지녔다고 해도 손색이 없는 금당 금동석 가삼존불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금동석가삼존상의 여러 가지 도상 특징 중에서 광배(光背)에 시문(施紋)된 아름다운 문양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우리나라 백제시대 불상의 광배 문양과의 연관성을 비교 연구하여, 호류지(法隆寺) 금동석 가삼존상 광배 문양의 미술사적 의의를 논해 보고자 한다. 본 논고에서는 호류지(法隆寺) 금당 금동석가삼존불상의 광배에 시문된 문양을 통하여 우리나라 삼국시대, 특히 백제의 불상이 일본 아스카(飛鳥)시대의 불상 양식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검토해본 결과, 첫 째, 일본서기에 기록된 문헌상으로도 백제의 불상 조각을 받아들여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을 입증할 수 있었으며, 광배 뒷면에 있는 명문을 통하여 백제 출신이라고 추정할 수도 있는 도리불사가 조성하였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둘째, 중국 동서위 시기와 우리나라 고구려, 백제의 주형거신광과 일 광삼존불의 형식을 살펴서 호류지 석가삼존불상과의 영향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광배에 시문된 연화문, 당초문, 연화당초문, 연주문, 화염 문 등의 문양을 분석해 더 확실한 친연성을 볼 수 있었다. 이런 몇 가지 고찰에 의해 호류지(法隆寺)가 창건된 아스카시대(飛 鳥時代)의 불교미술을 살펴봄으로써 이 시기에 중국 동서위시대, 특히 우리나라의 삼국·백제 불상의 6세기 후반기-7세기 초기양식과 거의 흡사하다는 점과 삼국의 불상 전파 관계도 확인 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Japanese are proud that the grounds of Horyuji the world's oldest surviving wooden structures, conveying images of Japan as it existed more than 1,300 years ago, during the Asuka Period (A.D.mid 6th‐beginning of 8th c.). In fact, Horyuji contains over 2,300 important cultural and historical structures and articles, including nearly 190 that have been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s or Important Cultural Properties. In December of 1993, Horyuji, as a unique storehouse of world Buddhist culture, became the first treasure of any kind in Japan to be selected by UNESCO as part of the World Heritage. I focused on Gilt Bronzed triptych Buddhist statue at Kondo because this status h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nections of Buddhist art between Korea and Japan. Especially I have gone deep into the study of various pattern of Halo at Gilt Bronzed triptych Buddhist statue in comparison with halo pattern of Paekche Kingdom, Korea. Consequently, I could track the path of interchange between China, Korea and Japanese Buddhist sculpture during 3~7th C.through this halo pattern

목차

Ⅰ. 머리말
Ⅱ. 法隆寺 金堂 金銅釋迦三尊佛像의 造成 背景
Ⅲ. 釋迦三尊佛像 光背 紋樣의 特徵
Ⅳ. 釋迦三尊佛像 光背 紋樣의 美術史的 意義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승희,Seunghee Koh. (2009).法隆寺 金堂 金銅釋迦三尊佛像의 光背 紋樣 硏究. 일본불교문화연구, (1), 111-139

MLA

고승희,Seunghee Koh. "法隆寺 金堂 金銅釋迦三尊佛像의 光背 紋樣 硏究." 일본불교문화연구, .1(2009): 111-1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