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GMO의 비의도적 유출과 개발기업의 책임

이용수 497

영문명
GMOs' Unintentional Release and Biotechnology Corporate's Liability - In re Genetically Modified Rice Litigation
발행기관
한국사법학회(구 한국비교사법학회)
저자명
김은진(KIM Eun Jin)
간행물 정보
『비교사법』比較私法 제22권 제1호, 503~52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GM작물 재배의 역사가 20년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 안전성에 관한 논란은 지속되고 있다. 그로 인해 생물다양성협약이 채택될 당시 생물다양성을 위협할 지도 모른다는 우려로 인하여 바이오안전성의정서가 채택,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GM작물 재배로 인해 야 기될 위험에 대한 안전관리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고 사후관리에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책임과 복구에 대해서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하다가 2010년에야 비로소 채택되어 시행예정에 있다. 이 추가의정서는 그 중요도에도 불구하고 핵심적인 내용을 국내법에 위임함으로써 통일적인 책임 및 복구 제도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한계를 가진다. GM작물 최대 재배국인 미국은 재배 이후 끊임없이 불법적 유출의 논란이 있었으나 실질적 동등성의 원칙에 따라 별도의 규제를 하지 않는 원칙을 고수해 왔다. 그러나 2006년 GM벼의 비의도적 환경방출로 인한 사건은 그동안의 원칙에 일정 정도 수정을 가할 수밖에 없도록 하였다. 불법적 유출에 따른 개발자의 책임을 명확히 하게 된 것이다. 추가의정서의 채택과 미국에서의 GM벼의 판례는 각국에서 GM작물로 인해 야기될 책임문제에 대한 기준을 법제화하는 데 큰 의의를 지니는 것이다. 왜냐하면 국내법에의 위임으로 인해 야기될지도 모르는 각국 국내법의 상이함으로 인한 마찰의 가능성을 미국의 판례를 통해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미국이 의정서 상의 당사국이 아니기 때문에 의정서 상의 책임과 의무를 강제하기 힘들었다는 점, 최대 재배국이 인정하는 책임법제가 선례로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 의해 의정서의 실효성이 한층 더 높아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추가의정서와 미국의 판례에 비추어 GM작물에 대한 적절한 책임법제를 신속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In 2006, the USDA announced the unapproved genetically modified rice had been detected un the US. Following the announcement, many farmers involved in rice production brought suit against Bayer, claiming that they damaged by the contamination by GM rice. The rice producers assert public nuisance, private nuisance, negligence per se, negligence, strict liability, product liability. In 3'bellwether trials'. the jury verdict in favor of farmers and applied the economic loss doctrine to these lawsuits. Finally, Bayer announced settlement with rice farmers to compensate for economic loss. After this case, the US have to change its policy of biotechnology. The Nagoya - Kuala Lumpur Supplementary Protocol on Liability and Redres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was adopted in MOP 5, 2010. This protocol can regulate environment release of GMOs. However, it delegates main issues, such as causation, response measures, exemptions, time limits, etc., to each country. The more unintentional release, the more damages. Therefore, we have to propare our own legal system for liability and redress in GMO issues. The US rice case will be helpful for establishing liability system.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미국의 GMO벼 사례
Ⅲ. 환경 방출과 추가의정서 상의 책임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진(KIM Eun Jin). (2015).GMO의 비의도적 유출과 개발기업의 책임. 비교사법, 22 (1), 503-526

MLA

김은진(KIM Eun Jin). "GMO의 비의도적 유출과 개발기업의 책임." 비교사법, 22.1(2015): 503-5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