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베트남 전쟁 시 미국 적십자 여성의 활동

이용수 252

영문명
The Activities of American Red Cross Women during the Vietnam War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저자명
김미덕(Miduk Kim)
간행물 정보
『여성학논집』제32집 1호, 89~12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군사주의와 젠더 관점에서 베트남 전쟁 당시(1962-1975) 미국 적십자 여성의 활동을 살피는 것이다. 적십자는 1881년 클라라 바톤의 창설 이래 미 정부 및 군 당국과의 밀접한 연계 속에서 군인과 군인 가족 지원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다. 적십자는 베트남에서 11년간 활동했는데 주요 활동으로 군과 고향을 연계한 부대 서비스, 군병원 서비스, 오락센터와 이동클럽을 운영한 해외오락보충부대가 있었다. 특히 해외오락보충부대는 1965년 가을 베트남 다낭에 처음 도착하였고 1972년에 프로그램이 종료되었다. 이 부대 소속의 여성들은, 군 기지 근처에 클럽을 세워 군인들에게 오락과 휴식을 제공하고, 센터가 없는 외딴 곳에 있는 부대는 여성들이 직접 방문해 커피나 도넛을 나눠주고 오락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적십자 여성 노동자는 대개 20대 중반의 미혼 여성으로서 대학교육과 사회경험을 우대했기 때문에 백인 중산계층 배경의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주요 임무는 군인의 사기 진작과 건전한 오락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고향의 어머니, 애인, 여동생이나 누나의 역할을 대행했고 남성 군인이 지켜야 하는 조국의 여성을 상징했다. 활동의 어려움에는 열악한 생활환경, 남성이 압도적으로 많은 공간에서 파생하는 젠더문제, 전쟁으로 인한 긴장과 무력감 등이 있었다. 이들의 활동은 군사주의와 젠더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적십자 여성의 활동은 남성의 사기 진작을 목적으로 보살핌과 위로라는 전통적인 성역할에 충실했다. 둘째, 다만 그들의 존재는 고향에 두고 온 어머니, 애인, 누이동생의 이미지로 상징적으로 활용되었다. 따라서 성적 대상화가 부재한 것은 아니었지만 대체로 군인들로부터 예의바른 대우를 받았다. 셋째, 여성들의 나이가 군인들보다 더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소녀라 불리며 보호와 위안의 교환이라는 젠더 위계의 재생산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군인들이 보호해야 하는, 정숙한 미국 여성의 도덕성과 그렇지 않은 현지 여성의 부정적 이미지간의 이분법 또한 작동하였다. 한편 여성 자신에게는, 다른 국가를 접하고 전통적으로 남성 영역인 전쟁에 참여하는 도전과 기회의 장이라는 것 또한 분명했다. 이 글은 베트남 전쟁 시 미국 적십자 여성의 활동의 이러한 모순적이고 복잡한 상황을 보이고자 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discover the activities of American Red Cross(ARC) women during the Vietnam War(1962-1975) and to explain them with the prism of militarism and gender. Since the establishment of ARC by Clara Barton in 1881, the organization has supported the soldiers and their families with the close cooperation of the U.S. government and the military authority. During 11 years of the activities of ARC in Vietnam, it provided three main services, Service to Military Installations(SMI), Service to Military Hospitals(SMH), and Supplemental Recreational Activities Overseas(SRAO). In particular, the first SRAO unit was arrived in September 1965 in Da Nang, Vietnam and the program was ended in 1972. The SRAO program ran recreation centers to provide recreation and rest to soldiers and delivered active audience participation programs. For the small scale troops where no service clubs were available, the women served coffee and doughnuts with a clubmoible. ARC women were required to be college graduated, in middle 20s, and thus predominantly consisted of white middle class women. The main activities were to boost soldiers’ morale and to provide wholesome recreations, and the women were symbolically represented as mothers, sisters, and lovers in the States. Difficulties included poor working environment, gender issue in terms of overwhelmingly male-dominated environment, and the powerlessness from the war. The women’s activities can be explained in relation to gender and militarism as such. First, the clear aim of their presence during the vietnam war was to boost soldiers’ morale and their activities reproduce the traditional sex role such as care and comfort. Second, along with the comfort service, they were represented as symbols of the America’s mother, sister and lovers whom soldiers should protect and fight for rather than having direct sexual contacts. Although there was not absence of sexual objectification of the women, it is safe to say that they were politely treated by the soldiers in general. Third, we can confirm gender hierarchy in that they were simply called girls although they were older than soldiers. Fourth, the dichotomy between respectable American women and negative images of local women was also assumed. In the meantime, since the motivation of their voluntary work overseas were to experience foreign countries challenging traditional sex role in the States and to participate a war considered conventionally as men’s sphere, the women wielded their agencies. This article tries to show such a paradoxical and it complicated situation relating the activities of ARC during the Vietnam War.

목차

Ⅰ. 서론
Ⅱ. 미국 적십자와 베트남 전쟁
Ⅲ. 적십자 여성의 활동-해외오락보충부대를 중심으로
Ⅳ. 요약과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덕(Miduk Kim). (2015).베트남 전쟁 시 미국 적십자 여성의 활동. 여성학논집, 32 (1), 89-121

MLA

김미덕(Miduk Kim). "베트남 전쟁 시 미국 적십자 여성의 활동." 여성학논집, 32.1(2015): 89-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