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후연령인지의 다차원성과 성별차이

이용수 620

영문명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 of Perceived Old Age and Gender Differences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김미령(Kim, Meeryoung)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35권 2호, 375~39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5.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의 3차와 3차 부가조사를 사용한 연구로 여성과 남성의 노후연령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비교하고 영향요소들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후연령인지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Bronfenbrenner의 생태체계이론을 사용하여 신체적인 노후시기, 사회․제도적인 노후시기로 은퇴와 연금을 수령하는 시기, 가족생애주기인 자녀를 모두 출가 시키거나 첫 손주를 봐 조부모가 되는 시기, 전통․문화적으로 회갑이 되는 시기로 구분하였다. 연구대상은 노후보장패널의 3차 시기인 2009년에 만 60세 이상이다. 본 연구의 표본 크기는 여성 2,792명, 남성 1,952명으로 모두 4,744명이다. 연구방법으로 노후연령인지에 미치는 영향파악을 위하여는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신체적 노후시작과 사회․제도적 노후시작을 노후연령시작 시기로 보는 것은 남성이 높았으며 여성의 경우에는 가족생애주기 노후시작과 전통․문화적 노후시작을 노후연령시작 시기로 보는 것이 높았다. 노후연령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연령, 교육, 가계총수입, 직업 및 신체적 노후, 사회제도적 노후, 가족생애주기 노후시작은 남녀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심리적 건강은 여성의 노후연령인지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도구적 일상생활능력과 주관적 신체건강은 남성의 노후연령인지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노후연령인지에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친 것은 남녀 모두 신체적 노후시작 시기였으며 그 다음이 역연령으로 노년기의 신체적인 노후가 역연령보다 노후연령을 인지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알 수 있으며 생태체계이론은 노년기의 노후연령인지의 영향요소 파악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역연령 뿐 아니라 노후연령인지의 노년기의 삶의 질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도 필요한 시점이라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sed the 3rd and 3rd additional wave​​ of panel data of KReIS(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and examined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old age. As an analytic framework, Bronfenbrenner's eco-system theory was used. As categories of ecosystem, the period of grand parenthood as a family life cycle, retirement or pension receiving time as socio-institutional period and 60th birthday as cultural-traditional period were used. The target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60+ in the 3rd wave collecting in 2009 and the sample size ​wa​s 4,744(women=2,792, men=1,952). As data analysis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for both gender, age, education, gross family income, job and beginning variables of older adults were significant. However, psychological heal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only women, and IADL and perceived physical healt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only men. When comparing βs of independent variables, perceived physical health variable is the most effective on the perceived old age and​ chronological age is the second most​ effective​. The result indicated that eco-system theory can be appli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old age. For future study, both chronological age and perceived old ag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목차

I. 서론
Ⅱ. 연령인지의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령(Kim, Meeryoung). (2015).노후연령인지의 다차원성과 성별차이. 한국노년학, 35 (2), 375-394

MLA

김미령(Kim, Meeryoung). "노후연령인지의 다차원성과 성별차이." 한국노년학, 35.2(2015): 375-3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