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비자물가지수를 통해 본 소비생활의 변화
이용수 1277
- 영문명
- Changes in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 during 1990-2010: A Look through Consumer Price Index
- 발행기관
- 한국소비문화학회
- 저자명
- 성영애(Sung Young Ae) 최현자(Choe Hyun cha) 김소연(Kim So Yun)
- 간행물 정보
- 『소비문화연구』제17권 제4호, 223~25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소비자물가지수는 평균적인 도시가계가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재화의 가격과 서비스 요금의 변동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통계청에서 작성하는 지수이다. 개별품목이 소비지출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년 변화하기 때문에 이러한 지출 패턴의 변화를 소비자물가지수에 반영하기 위하여 소비자물가지수 산정에 포함되는 품목조정은 매 5개년마다, 가중치 조정은 매 1개년마다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물가지수에 포함된 품목과 가중치의 변화 추이를 통해 소비생활의 변화를 추론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0년의 기간 동안 소비자물가지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조사되고 있는 품목과 가중치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동기간 동안 평균적인 가계가 소비해왔던 품목이 무엇이고, 어떤 품목에 대한 소비가 보편적으로 확대되었는지, 과거에는 주요 소비대상이었으나 더 이상 소비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 품목은 어떠한 것인지 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지난 20여 년간 급격한 사회경제적 변화를 경험한 한국 사회의 소비생활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1990년-2010년 동안 전반적으로 의식주생활관련 품목 수와 가중치는 감소하였고, 기타생활영역의 품목 수와 가중치는 증가해 왔음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소비자물가지수편제의 변화는 가사서비스의 사회화 현상, 편리성 추구 경향, 저출산과 공교육에 대한 불신으로 나타나고 있는 사교육 열풍, 개인주의와 건강과 가족,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며 나타나고 있는 레저 열풍,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한 미디어와 통신서비스 이용 방식의 변화 등 현대 사회의 소비 양상을 잘 설명하였다. 산업화 이후 질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지난 20년간의 소비생활상을 고찰한 본 연구가 이 시기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하는데 기초자료로 이용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Korean society has been changed drastically during the last couple of decades and the change would affect the way consumers consume. Analyzing changes in Consumer Price Index during 1990-2010, this study provided understanding of the changes in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 during the same period. The items and weights that are used to calculate the index have been revised on a 5-year basis to reflect the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 of urban households. Therefore, by analyzing the changes in items and weights used for the index, we can infer the current picture of consumption expenditure. An analysis on Consumer Price Index showed that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 on necessities such as foods, clothes, and housing decreased during the 1990-2010 whereas expenditures in other categories such as private education, personal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and leisure services increased. And exceptionally the items and weights for eating-out and services for housework increased distinctively from the overall reduction in food and housing categories. Those changes in Consumer Price Index explained the noticeable changes in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 in Korean society during 1990-2010 such as socialization of traditional housework, convenience- seeking tendency, fever in leisure activities and private education, and drastic changes in the way of enjoying media and communication owing to smart phon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소비자물가지수 조사품목과 가중치의 변화
Ⅲ. 소비자물가지수 품목변동을 통하여 살펴본 소비생활의 변화
Ⅳ.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택용 전기요금 개편에 대한 정책네트워크
- 서비스 종사자의 유머가 고객의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네이밍라이츠 스폰서쉽과 소비자의 공연장 서비스품질 기대
- 죽음 현저성이 성적소구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싫증의 영향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 소비자들은 스마트기술에 대하여 무엇을 연상해내는가?
- 대학생의 정보만족도가 휴대폰 소액결제 이용과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물가지수를 통해 본 소비생활의 변화
- 소비자문화변용 과정에서 소유물이 가지는 문화변용동인으로서의 역할
- 신용카드 할인서비스의 소비자혼란에 관한 연구
- 의약품정보 제공을 통한 소비자의 알 권리 실현
-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가능자의 펀드투자역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