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정 도로교통법상 음주운전죄의 소송법적 문제점 고찰

이용수 188

영문명
Study on the Issues of Driving under the Influence(DUI) as an Offense under the Amendment of Road Traffic Act : Based on the Issues of DUI under the Code of Legal Procedure
발행기관
대검찰청
저자명
이주원(Lee, Joo-Won)
간행물 정보
『형사법의 신동향』제36호, 105~139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개정 도로교통법(2011. 6. 8. 법률 제10790호)은, 음주운전 부분에 관하여 법정형을 세분화하고 부분적으로 그 하한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개정 도로교통법의 시행으로, 소송법상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한편으로는 기존에 없던 문제점이 새롭게 등장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나아가 기존에 있던 문제점 또한 더욱 심화되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음주운전죄와 관련된 개정 도로교통법의 내용과 그 적정성 ․ 타당성을 검토하고, 새롭게 등장하거나 더욱 심화된 소송법적인 문제점에 대해 사물관할 문제, 혈중알콜농도의 증명문제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함께 모색해 보았다. 우선 개정 도로교통법의 시행으로 3회 이상 음주운전, 음주측정불응(제148조의2 제1항) 및 혈중알콜농도 0.2% 이상의 음주운전(제148조의2 제2항 제1호)은 합의부의 관할에 속하게 되었다. 미처 염두에 두지 못한 결과 야기된 입법상의 큰 부주의로 보이는데, 반드시 합의부의 관할로 하지 않으면 아니될 당위성이나 필연성은 없다고 본다. 따라서 법원조직법을 개정하여 다시 단독판사의 관할로 환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된 문제로서, 법원조직법상 합의부의 관할사건에 해당하는 사건을 약식사건이라고 하여 단독판사가 처리하는 것은, 법원조직법 제32조 제1항(제3호)에 명백히 반하며 이러한 실무관행도 시정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입법적 정비가 요구된다. 또한 개정 도로교통법의 시행으로 이제 혈중알콜농도의 구체적인 수치는 0.1% 이상 또는 0.2% 이상인지 여부가 법정형의 상한과 하한을 결정하는 구성요건요소로 그 위상이 변경되었다. 그 결과 혈중알콜농도에 대한 현실적인 증명부담이 가중되었다. 혈중알콜 농도의 증명과 관련하여 측정주기 측면에서 현재 실무상 행해지고 있는 1회 호흡측정방식의 위험성이 지적되고 있다. 적어도 2회의 호흡측정을 반드시 실시하는 방식으로 실무운용을 개선하여야 한다. 또한 운전 당시 또는 그 직후 운전자에 대한 호흡측정이나 혈액측정 등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운전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 비로소 음주측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운전시점의 혈중알콜농도를 추정해야 하는 현실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 실무상 적용되던 이른바 위드마크 공식은 그 불완전성으로 말미암아 그러한 부정확한 수식에 더 이상 의존할 것은 아니라고 본다. 그 개선방안으로는, 도로교통법에 혈중알콜농도의 추정 규정을 입법화하는 방법, 이른바 위드마크 공식을 대체하는 대체공식을 마련하는 방법, 전문가의 감정을 활성화하는 방법 등이 강구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mendment of Road Traffic Act(Promulgated on June 8, 2011; Law No.10790) is developed to further ramify statutory punishments on driving under the influence(DUI) and even partially establish possible lower limit of those punishments. The enforcement of the said Amendment has brought about considerable questions on the rise under the Code of Legal Procedure: On the one hand, we face emerging questions of the said Amendment, which were not precedented in past. On the other hand, we face further aggravation of existing questions inherent in Road Traffic 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tent, adequacy and validity of the said Amendment in terms of punishments on DUI as an offense, and focus further discussions on issues such as subject-matter jurisdiction and proof of blood alcohol concentration to examine the issues of the said Act which are emerging or further aggravated under the Code of Legal Procedure. Furthermore,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possible rational ways to improve those issues. First, the said Amendment of Road Traffic Act has been enforced to provide that 3 or more cases of DUI, sobriety test disobedience(Section 148.2, paragraph 1), and any cases of DUI with 0.2% or higher blood alcohol concentration(Sec. 148.2, par. 2, subpar. 1) shall be subject to jurisdiction of collegiate body. This appears to be a big legislative negligence caused by lack of considerations in advance.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there is neither necessity nor obligation to make those cases of DUI-related offense subject to jurisdiction of collegiate body. Hence, it is recommended that the current Court Organization Act should be revised to refer those cases back to jurisdiction of a single judge as did in past. Moreover, the enforcement of the said Amendment has caused such a change to the status of Road Traffic Act that detailed level of blood alcohol concentration, i.e. whether the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0.1% or 0.2%, becomes a constituent matter that determines possible upper and lower limit of statutory punishments on DUI as an offense. As a result, law enforcement authorities face extra burden of proof about blood alcohol concentration in practice. In regard to proof of blood alcohol concentration, there are ever-increasing opinions to point out the potential risk of current single breathing test - especially in the aspect of test frequency - executed on sites of law enforcement. That is why it is advisable to improve current practices of law enforcement on DUI to ensure that every vehicle driver takes breathing test at least twice or more frequently before passing certain DUI check-up zones. In particular, if law enforcement authority doesn't perform breathing test or blood alcohol concentration test for vehicle drivers on site or off site, or if the authority performs sobriety test on vehicle drivers only in certain time after they are on the go, the authority faces a practical question of estimation about blood alcohol concentration when they drove vehicle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Widmark equation that was applied to conventional practices of law enforcement may not be viewed as a general rule of experience due to its imperfection. It is unreasonable to rely blindly on the incorrect equation reluctantly used by law enforcement authority. And it is required to immediately improve any wrong practices of law enforcement especially in terms of DUI. As a part of solutions for these questions, it is possible to refer to overseas legislative cases to legislate provisions on more correct estimation of blood alcohol concentration under the Road Traffic Act; develop an alternative equation for Widmark equation; and facilitate specialists to estimate or judg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of vehicle drivers under the influence.

목차

Ⅰ. 글머리에
Ⅱ. 음주운전에 관한 개정 내용과 평가
1. 법정형의 세분화 및 일부 하한 설정
2. 평 가
Ⅲ. 소송법적 문제점
1. 사물관할의 문제
2. 혈중알콜농도의 증명문제
3. 관련문제
Ⅳ. 개선방안
1. 법원조직법상 사물관할의 입법적 개선
2. 혈중알콜농도의 증명문제 개선
Ⅴ. 결 론
※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원(Lee, Joo-Won). (2012).개정 도로교통법상 음주운전죄의 소송법적 문제점 고찰. 형사법의 신동향, (36), 105-139

MLA

이주원(Lee, Joo-Won). "개정 도로교통법상 음주운전죄의 소송법적 문제점 고찰." 형사법의 신동향, .36(2012): 105-1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