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계종단 계단(戒壇)의 역사 및 성격

이용수 611

영문명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Ordination Platform of the Jogye Order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이자랑(Lee Ja Rang)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佛敎硏究 第42輯, 317~352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2.28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 대한불교조계종은 단일계단(單一戒壇)에서 구족계를 수계하고 있다. 단일계단이란 이전 각 본사나 사찰별로 율사들의 자의로 시행하였던 수계산림을 단일화하여 종단 차원에서 실행하는 것으로, 종래의 수계법회를 율장에 근거하여 보완ㆍ수정한 것이다. 단일계단은 1981년 2월 17일 양산 통도사에서 자운(慈雲)율사를 초대 단일계단 전계사로 추대하여 열린 제1회 사미ㆍ사미니계 수계산림 법회를 시작으로 지난 해(2014) 3월 20-28일에 제34회 단일계단 구족계 수계산림이 직지사에서 열렸다. 단일계단의 정비와 더불어 율장에 따라 비구니 이부승수계 제도 및 식차마나계도 복원되었다. 이 제도는 아마도 고려시대 이후로 끊긴 것으로 보이는데, 1982년 10월 15-20일까지 범어사에서 자운율사를 전계사로 열린 구족계 제2회, 사미(니)계 제3회 수계산림 법회에서 비구니 이부승수계가 복원되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와 같이 조계종의 수계의식이 지금과 같이 정비된 것은 불과 35년 정도 전의 일이다. 암울한 조선시대를 거치며 한국에서 계맥은 거의 끊길 위험에 처하였다. 하지만 1826년 대은낭오가 서상수계를 하고, 1892년에 만하승림이 중국에서 계맥을 전수해 오는 등, 극한 상황에서도 계맥을 이어가고자 하는 수많은 고승들의 신념과 활약으로 일제강점기나 정화 등의 혼란을 겪으면서도 계맥을 이어왔다. 그러나 정작 계단은 정비되지 못한 채, 특정 율사 및 사찰 중심으로 독자적으로 수계식이 이루어져 어디에서 누가 어떤 방법으로 비구가 되고 있는지, 종단은 새로운 구성원에 대한 파악이나 관리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운은 조계종 전체를 하나로 묶는 거대한 계단을 설립하였다. 이것이 단일계단이다. 그리고 자운은 단일계단의 정비와 실행을 철저하게 『사분율』에 근거하여 원칙을 지키며 실현해 갔다. 단일계단의 정비라는 대 사건이 없었다면, 조계종은 언제까지나 승적을 둘러싼 논란을 반복하였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근현대불교사에 있어 크게 주목할 만한 사건 가운데 하나인 1981년의 '단일계단' 확립 및 '이부승수계제도' 복원을 중심으로 조계종 계단의 역사를 살펴보고 있다. 단, 단일계단 내지 이부승수계제도 실행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제도들이 실행되기 이전의 한국불교의 수계 상황도 고려되어야 하므로, 근대기에 이루어진 조계종의 주요 계맥인 대은파와 만하파의 성립과 발전, 그리고 통합종단의 계단법 등 종합적으로 조계종 계단의 역사를 고찰하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탄생한 단일계단이 어떤 내용과 의미를 지니는지 생각해 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Daehan Pulgyo Jogye Order (大韓佛敎曹溪宗) is currently receiving the full precepts from a single ordination platform (單一戒壇). A single ordination platform refers to the precept reception that is unified to be performed at the level of the order,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ase where it was voluntarily performed by preceptors in head temple or each branch temple. It supplements and modifies the original Buddhist ceremony according to Vinayapiṭaka.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began with the first Buddhist precept reception ceremony for novices that was held in Tongdo Temple in Yangsan on February 17th in 1982 where Preceptor Ja-un was selected as the first teacher to confer the precepts in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Last year, the 34th single platform precept reception ceremony for full precepts was held in Jikji Temple during March 20th to 28th. In addition to organizing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Buddhist monk dual ordination system and sikkhamānās' precepts were also restored according to Vinayapiṭaka. The dual ordination, which is conjecture to be ceased after the Koryŏ Dyanasty, was restored at the second precept reception ceremony for full precepts where Preceptor Ja-un was selected as the first teacher to confer the precepts and the third precept reception ceremony for novices held in Pŏmŏ Temple during October 15th to 20th in 1982. There stored system lasted up to this day. As such, no longer than 35 years have passed since the precept reception ceremony of the Jogye Order was organized to take the current form. Lineage of the transmission of the precepts in Korea faced risk of extinction passing the grim period under the Chosŏn Dynasty. Despite turbulent era such as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purification, the lineage continued thanks to the strong belief and action by a number of high priests in severe situations, such as Daeŭn-nango (大隱朗旿)'s to reception of Sŏsang precepts (瑞祥受戒) in 1826 and Manha-seunglim (萬下勝林)'s transmission of precept lineage from China in 1892. However, precept receiving ceremonies were still being performed independently by a certain preceptor or temple, as the platform was yet to be organized. As a result, the order had difficulties in grasping and managing new members, being unable to know who became a Buddhist monk in where.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is problem, Ja-un established an immense platform that can embrace the whole Jogye Order. This is the very single ordination platform. Ja-un conducted align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by strictly following the principles based on the Four Part Vinaya. If it were not for the big affair of single ordination platform alignment, the Jogye Order must have been trapped in endless dispute over the register of monks.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of ordination platform of the Jogye Order,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and restoration of 'the system of dual ordination' in 1981, which are two of the most notable events in modern Buddhism history. Meanwhile, in order to complete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or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of dual ordination, precept reception situation in Korean Buddhism prior to such ev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Hence, the paper comprehensively examines the history of the Jogye Order platform, including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Daeŭn's branch and Manha's branch, which are the major lineages of the transmission of the precepts of the Jogye Order in modern era, as well as the ordination platform rule of an integrated order. Through this, the paper contemplates the contents and meaning of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that emerged from such circumstances.

목차

요약문
Ⅰ. 서론
Ⅱ. 근현대불교의 두 계맥 -대은파와 만하파
Ⅲ. 정화기의 혼란한 수계 상황과 통합종단의 계단법
Ⅳ. 단일계단의 정비
Ⅴ. 비구니 수계 제도의 정비
Ⅵ. 결론
약호 및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자랑(Lee Ja Rang). (2015).조계종단 계단(戒壇)의 역사 및 성격. 불교연구, 42 , 317-352

MLA

이자랑(Lee Ja Rang). "조계종단 계단(戒壇)의 역사 및 성격." 불교연구, 42.(2015): 317-3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