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깨진 창 경찰활동과 기초질서위반사범
이용수 134
- 영문명
- The Broken Window Policing and the Minor Fractions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정우일(Jung Woo Il)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18권 1호, 302~329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깨진 창 경찰활동에 대한 이론적 배경 등을 고찰하고 테일러가 제시한 협력활동 모형과 범죄통제 모형을 토대로 기초질서위반사범에 대한 접근 방안을 제시했다. 일반적으로 경찰실무에서 말하는 기초질서위반사범이란 「경범죄처벌법」등에 규정된 경미한 범죄나 질서위반행위 또는 그 경미한 범죄나 질서위반행위를 저지른 자를 의미한다.
테일러는 깨진 창 경찰활동의 개념적 근거를 반문화행위 테제(incivilities thesis)에서 찾고 있으며, 반문화행위 테제를 근거로 깨진 창 경찰활동을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협력활동 모형과 무관용 경찰활동으로 대표되는 범죄통제 모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협력활동 모형은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감소, 이웃관계의 안정, 그리고 범죄로부터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경찰과 주민들이 함께 반문화행위를 감소시키는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깨진 창 경찰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범죄통제 모형은 범죄행위에 대한 억제를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보는 형사사법적인 모형이다. 범죄통제 모형에서는 법집행의 효율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특히 신속하고 엄격한 법집행이 강조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scribes the approaches to the minor infractions focused on the broken window policing with R. B. Taylor' s models, or "coproduction model" and "crime control model". Also he conceptualizes broken window policing with inactivities thesis. In korean police practice, Minor infractions generally means offenses like smoking in restrict areas, crank calls, public urination, aggressive panhandling and so on, which they are prescribed in the Minor Infractions Punishment Law.
In United states, Broken windows policing refers to a police emphasis on disorderly behavior and minor offenses, often referred to as "quality of life" offenses like prostitution, public urination, and aggressive panhandling. R. B. Taylor used two approaches to describe broken windows policing.
Coproduction model means that producing public safety is a coproduction process, wherein police and citizens, and other organizations working with the police all contribute to the outcomes, or reduction of fear of crimes, stability of neighborhood relations, safety from crimes.
Crime control model means the criminal justice system model that views the repression of criminal conduct as its most important function. This model emphasizes efficiency and lays stress on speed and finality.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기초질서위반사범에 대한 접근 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적극적 대테러활동(counter-terrorism)을 위한 경찰업무의 전문화 방향에 관한 연구
- 성범죄자의 성적 일탈경험과 자기합리화에 관한 연구
- 깨진 창 경찰활동과 기초질서위반사범
- 공무집행방해사범에 대한 공권력 확보방안
- 성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법관과 일반인의 인식차이
- 한국 법과학의 영역 간 통섭에 관한 연구
- 전환기 러시아의 사회변동과 자살
- 뉴테러리즘의 대응방안과 전략에 관한 연구
- 지역경찰조직의 성과평가를 위한 모형개발
- 근거이론에 기초한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표준화의 질적 연구
- 깨어진 창문이론적 관점의 경찰 아웃리치서비스의 한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