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醫學入門』에 나타난 三陰三陽과 標本中에 대한 考察

이용수 43

영문명
발행기관
대한한의학원전학회
저자명
趙學俊
간행물 정보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18권 4호, 15~26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한의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1.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通過硏究『醫學入門』中對於三陰三陽各自以六氣配屬原理, 六氣納支, 節氣方位, 標本陰陽屬性, 經脈納支, 脈體, 治法, 中氣等進行分類及考察, 得出結論如下: 1. 三陰三陽的屬性與地支的配屬不一致. 太陽和厥陰雖然以地支與辰戌和巳亥, 寅申相配屬, 但是實際上標本的陰陽屬性與納支的原理是不同的. 因此, 在區別標本陰陽的特性上, 節氣, 方位等不能成爲一定基準. 2. 三陰三陽本氣的五行屬性和經脈納支, 有可能不一致. 陽明操金之本, 不是手陽明大腸, 實際上足陽明胃才是本, 少陽相火之本, 亦不是手少陽三焦, 實際上足少陽膽才本. 3. 三陰三陽按照從化規律其治法各異. 第一, 標與本的陰陽屬性相反時用反治法. 少陰本熱標寒, 太陽本寒標熱, 且寒熱不定, 故太陽熱因寒用, 而少陰寒因熱用. 第二, 標與本的陰陽屬性相同時用正治法. 太陰標本均寒, 少陽標本均熱, 故太陰寒因寒用, 塞因塞用, 而少陽通因通用. 第三, 標與本的陰陽屬性相反, 且與中氣的陰陽屬性不同時, 不能用正治或反治法, 應驅從於中進行治療. 卽不能拘泥於厥陰和陽明的所定治法, 應隨機從中進行治療. 4. "少陰太陽 從本從標" 在應用於治療時, 可解釋如下: 第一, 或者從本, 或者從標. 第二, 或者從本, 或者從標, 但治療上有其先後之別. 第三, 少陰寒因熱用. 太陽熱因寒用, 故同時驅從於標本. 5. 在"陽明厥陰 不從標本 從乎中"的"從乎中", 可理解爲在治法運用中可以'隨機取中'之意.

목차

中文抄錄
Ⅰ. 序論
Ⅱ. 本論
Ⅲ. 考察
Ⅳ. 結論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趙學俊. (2005).『醫學入門』에 나타난 三陰三陽과 標本中에 대한 考察.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18 (4), 15-26

MLA

趙學俊. "『醫學入門』에 나타난 三陰三陽과 標本中에 대한 考察."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18.4(2005): 15-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