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클리어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 간 신뢰와 조직의 신뢰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76

영문명
A Study on the Impact of Clear Leadership for Trust among Employees and Trust Climate in Organizations
발행기관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저자명
조영덕(Young Duke Cho) 장영철(Young Chul Chang) 최승규(Seung Gyu Choe)
간행물 정보
『창조와 혁신』제7권 제2호, 267~303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5.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첫째, 조직에서 진정한 협력 구축의 방해요소가 무엇인가 탐색하는 것, 둘째, 그 해결방안으로 제시된 북미의 클리어 리더십을 한국의 기업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가 검증하는 것, 셋째, 클리어 리더십 시각으로 조직의 신뢰 문화를 파악하는 북미와 한국의 차이점을 발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외국계 기업을 포함한 국내 소재 총 5개 기업의 임직원 309명을 대상으로, 가능한 솔직한 응답을 받기 위해 응답자를 추정할 수 있는 인적 정보를 제외한 상태로 클리어 리더십 진단 요소 60개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설문 조사 결과로 클리어 리더십 요소들을 통해서 진정한 협력 구축에 방해가 되는 원이 무엇인지 확인되었고, 북미에서의 연구조사와 같이 클리어 리더십 요소들이 조직의 관리자에 대한 신뢰와 조직의 신뢰분위기에 분명히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설문 항목 가운데 반응과 융합이라는 요소를 인식하는 데는 개인과 집단이라는 북미와 한국의 문화적 성격 차이가 반영되어 빠른 반응과 지나친 융합이 오히려 신뢰 관계가 높게 인식된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구성원들의 진정한 협력을 방해하는 요소들을 제거하고,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한 구성원 개별의 강점발휘를 위한 조직 문화 조성 스킬로서 클리어 리더십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구성원 간 대인관계의 명료성 구축은 조직 내 협력 문화의 토대를 마련하는 근간이다.

영문 초록

The human being is recognized as a living thing only when he can think and feel. The Clear leadership is a skill set of organizational culture to have human feel himself not a meaningless number to fill for 'Dead Poets Society', but an independent alive human'. In the transnational era of global competition, the strategic executions based on employees' engagement and collaboration should be the original power source that will be able to make out performance so that the organization can survive. The platformof this study is designed with the organizational diagnosis of Clear Leadership that interpersonal mush interferes with true collaboration among employees in the organization, and learning conversation is the practical solution that delivers interpersonal clarity in the organization of the 21st century. Learning conversation needs to be practiced with Clear Leadership Card consisted of four elements which are Aware Self, Curious Self, Descriptive Self and Appreciative Self including experience cube that bring with observations, thoughts, feelings and desires. If Peter Drucker proposed a strength management as a strong seed of achieving performance, and David Cooperrider fertilized the ground of strength management with Appreciative Inquiry in the way of delivering environmental advantages that flowers bloom, Gervase Bushe's Clear Leadership is providing tools and soils for the employees to remove barrie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 that they can implement true collaboration among employees in the organization. In the end, the result of implementation of Clear Leadership is a much happier organiz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영덕(Young Duke Cho),장영철(Young Chul Chang),최승규(Seung Gyu Choe). (2014).클리어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 간 신뢰와 조직의 신뢰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창조와 혁신, 7 (2), 267-303

MLA

조영덕(Young Duke Cho),장영철(Young Chul Chang),최승규(Seung Gyu Choe). "클리어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 간 신뢰와 조직의 신뢰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창조와 혁신, 7.2(2014): 267-3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