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과잉노동하는 한국인: 근로시간 미스매치와 노동시간 조정욕구의 관련성

이용수 272

영문명
The Over Worked South Korean: Mismatches between Actual and Preferred Hours and Working Time Prefere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발행기관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저자명
정우진(Woo Jin Jeon) 김현정(Hyun Jeong Kim) 정재훈(Jae Hoon Jeong)
간행물 정보
『창조와 혁신』제7권 제2호, 225~266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5.31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실제-적정 근로시간 간의 미스매치가 일-가정갈등과 노동시간 조정욕구에 미치는 영향과 일-가정갈등이 실제-적정 근로시간 간의 미스매치와 노동시간 조정욕구 간의 관계에 있어서 매개의 역할을 할 것인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사무직 근로자를 주요 대상으로, 귀납적 추론의 방법과 절차를 통해 설정된 가정과 가설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장시간 근로로 인하여 야기된 실제-적정 근로시간 간의 미스매치는 높은 일-가정갈등을 유발하는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제-적정 근로시간 간의 미스매치는 노동시간 조정욕구를 예측하는 원인변수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높은 수준의 일-가정갈등은 근로시간을 현재보다 줄이고 싶다는 근로자의 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과 일-가정갈등의 매개효과 가설이 타당함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에 응한 근로자들 중 58%는 '현재보다 임금이 줄더라도 일하는 시간을 줄이고 싶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이들의 하루 평균 초과 근로시간은 2.65시간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응한 전체 근로자들 중 약 3% 만이 '현재보다 근로시간을 더 늘리고 싶다'라고 응답하였다. 이것은 한국의 사무직 근로자들이 더는 장시간 근로를 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제 근로시간이 근로자 스스로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근로시간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개인적 선호에 따라 장시간 근로를 선택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없는 상황에서, 초과근무시간이 길다는 것이 근로자가 자신이 일하는 시간을 현재대로 유지하고 싶다거나 오히려 더 늘리고 싶다는 욕구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밝혀졌다. 이는 한국의 기업 조직에서 근로시간 단축의 필요성이 클 뿐만 아니라 사무직 근로자들에 있어서, 노동시간의 효과적 관리와 임금의 조정을 동반한 근로시간 단축을 실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For the past two decades, working hours of South Korean workers have been steadily reduced nonetheless, South Korean workers still work long hours compared with their counterparts in other countries. Mismatches between actual hours of work and the hours they prefer to work are common in South Korea. There are not many studies examined the reasons of mismatch and understanding of working hours mismatches is still limited. This article helps to integrate research on work-family issues by examining how working long hours and work-family conflict influences the desire for more or fewer hours of work. The present study also attempted to find out whether work-tofamily ha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y employing a sample of 205 questionnaires from employees working in companies in South Korea, this thesis used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variate Analyses. Analyses found that overtime work caused more work-to-family conflict and consequently employees want to reduce the working hours in order to deal with work-to-family conflict. In addition, work-to-family conflict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of discrepancies between actual and preferred hours caused by overtime work and the desire for fewer hours of work.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가설 및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우진(Woo Jin Jeon),김현정(Hyun Jeong Kim),정재훈(Jae Hoon Jeong). (2014).과잉노동하는 한국인: 근로시간 미스매치와 노동시간 조정욕구의 관련성. 창조와 혁신, 7 (2), 225-266

MLA

정우진(Woo Jin Jeon),김현정(Hyun Jeong Kim),정재훈(Jae Hoon Jeong). "과잉노동하는 한국인: 근로시간 미스매치와 노동시간 조정욕구의 관련성." 창조와 혁신, 7.2(2014): 225-2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