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관상동맥질환의 독립적 표지자로서의 대동맥 팽창성

이용수 44

영문명
Impaired Aortic Distensibility as an Independent Marker of Coronary Artery Disease
발행기관
대한임상노인의학회
저자명
김응주(Eung Ju Kim), 서홍석(Hong Seog Seo), 임성윤(Sung Yoon Lim), 김미나(Mina Kim), 나진오(Jin Oh Na), 최철웅(Cheol Ung Choi), 김진원(Jin Won Kim), 임홍의(Hong Euy Lim), 나승운(Seung-Woon Rha), 박창규(Chang Gyu Park), 오동주(Dong Joo Oh)
간행물 정보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제10권 제4호, 374~380쪽, 전체 6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배경: 대동맥의 탄성은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비정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대동맥 탄성도의 지표들 중 하나인 대동맥 팽창성이 관상동맥질환과 독립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지는 확실치 않다. 방법: 관상동맥 조영술을 받은 일련의 373명 중 급성관동맥 증후군, 과거 심근경색, 중등도 이상의 의미 있는 판막질환, 좌심실 구혈율 40% 미만, 심방세동, 관상동맥 성형술이나 관상동맥 우회술의 병력이 있는 사람들을 제외한 총 305명(관상동맥질환 환자군 107명, 대조군 198명)을 관찰하였다. 심장초음파를 이용하여 대동맥 판막으로부터 3 cm 원위부의 상행대동맥 직경을 측정한 후 2×(대동맥 내경의 변화)/(확장기 대동맥 내경×맥압) 공식으로 대동맥 팽창성(cm²×dyn⁻¹×10⁻⁶)을 구하였다. 결과: 수축기, 확장기 혈압과 맥박수는 양 군간 차이가 없었으나 대동맥 팽창성은 환자군이 유의하게 대조군 보다 낮았다(1.15±0.30 vs. 3.00±0.25, P<0.001). 다변량분석에서 대동맥 팽창성은 나이, 성,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과 흡연을 보정하고도 관상동맥질환과 유의한 상관성(P<0.001)을 보였다. 더욱이 대동맥 팽창성은 1∼3혈관질환으로 표현한 관상동맥질환의 심한 정도와 반비례하는 양상이었다(P<0.001). 결론: 대동맥 팽창성은 관상동맥질환의 독립적 위험 표지자이며 관상동맥질환의 심한 정도와 상관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Background: Elastic properties of aorta have been known to be abnormal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CAD). However, aortic distensibility (AD), one of the elasticity indexes, has not been ascertained whether it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CAD. Methods: We prospectively enrolled 305 subjects (107 patients with CAD and 198 patients without it) among 373 consecutive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ngiography for the assessment of suspected CAD.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previous myocardial infarction, valvular heart disease more than mild,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40%, atrial fibrillation, and history of coronary intervention or surgery were excluded. Aortic diameters were measured at a level 3 cm above the aortic valve using echocardiography. AD (cm²×dyn⁻¹×10⁻⁶) was calculated from the aortic diameters and brachial artery pressure using the formula: 2×(change in aortic diameter)/(diastolic aortic diameter ×pulse pressure). Results: Systolic,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were similar in both CAD and control subjects. AD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CAD than controls (1.15±0.30 vs. 3.00±0.25, P<0.001). In multivariate analysis, AD remaine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D (P<0.001) after adjustment for age, gender, hypertension, diabetes, hyperlipidemia and smoking. Moreover, AD showed significant inverse relationship with the severity of CAD, expressed as one-, two-, and three-vessel disease (P<0.001).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impaired AD is an independent risk marker for CAD, as well 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CAD.

목차

Abstract
서론
방법
결과
고찰
참고문헌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응주(Eung Ju Kim), 서홍석(Hong Seog Seo), 임성윤(Sung Yoon Lim), 김미나(Mina Kim), 나진오(Jin Oh Na), 최철웅(Cheol Ung Choi), 김진원(Jin Won Kim), 임홍의(Hong Euy Lim), 나승운(Seung-Woon Rha), 박창규(Chang Gyu Park), 오동주(Dong Joo Oh). (2009).관상동맥질환의 독립적 표지자로서의 대동맥 팽창성.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10 (4), 374-380

MLA

김응주(Eung Ju Kim), 서홍석(Hong Seog Seo), 임성윤(Sung Yoon Lim), 김미나(Mina Kim), 나진오(Jin Oh Na), 최철웅(Cheol Ung Choi), 김진원(Jin Won Kim), 임홍의(Hong Euy Lim), 나승운(Seung-Woon Rha), 박창규(Chang Gyu Park), 오동주(Dong Joo Oh). "관상동맥질환의 독립적 표지자로서의 대동맥 팽창성."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10.4(2009): 374-3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