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과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한 복부지방 측정의 상관관계

이용수 169

영문명
Correlation between Abdominal Fat Measured by BIA and Fat CT
발행기관
대한임상노인의학회
저자명
오영아(Young-A Oh), 심경원(Kyoung-Won Shim), 이홍수(Hong-Soo Lee), 이상화(Sang-Wha Lee), 김수아(Soo-A Kim)
간행물 정보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제7권 제2호, 225~237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배경: 복부 비만, 특히 내장 지방이 증가할수록 비만 합병증의 위험도 높아짐이 입증되면서 내장 지방을 보다 쉽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들이 개발되었다. 지방 CT가 복부 지방 표준측정법으로 인정되나 비용과 시간 등의 이유로 보편화되지 못하고, 실제 임상에서는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표준측정법인 CT와 비교하여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의 결과와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복부지방 측정에 있어 두 방법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CT측정치를 잘 반영할 수 있는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과 신체 계측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의 일개 대학병원의 건강증진센터와 외래 비만클리닉을 방문한 만 16세에서 72세 사이의 357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신체계측(신장,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둘레)과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 복부 지방 CT를 시행하였다. 신체 계측치 및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의 결과와 CT로 측정한 복부지방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체중, 체질량지수, 허리둘레와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을 이용한 총 체지방량, 체지방률, 복부지방률은 성별과 무관하게 CT 총 복부지방 면적과 강한 연관성을 보였다(P<0.0001). 이 중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으로 측정된 총 체지방량은 남녀 모두 상관계수 0.82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CT 내장 지방에 대해서는 총 체지방량이 중등도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체지방률은 상관계수 0.24로 약한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연령별로는 60세 미만에서 상관관계가 강하였고, 40세 미만의 젊은 여성군은 낮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신체계측과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 단독보다 병용하였을 때 높은 R2를 보였고, 총 체지방량과 허리둘레가 강한 설명변수로 작용하였다. 결론: CT 총 복부 지방 면적은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의 총 체지방량과 강한 상관성을 보이나, 내장 지방을 예측하는 데에서는 그렇지 못하였다. 복부지방의 평가시 특히 남성의 경우, BIA 체지방량을 기준으로 하여 허리둘레와 체지방률 결과를 종합하여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노인군과 비만한 젊은 여성군에서는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외에도 신체계측과 CT 사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Background: Abdominal obesity i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complications of obesity, and increased visceral fat appears to be even more predictive of some of the adverse health consequences of obesity. Therefore, more convenient and precise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assess visceral fat. Fat CT is used as the gold standard for measuring abdominal fat. However, this method suffers the major drawbacks of cost and being time-consuming. An easier alternative in clinical settings is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 So far, no study has been done to validate BIA measure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abdominal fat measured by BIA and fat CT. Secondly,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bdominal fat measured with CT can be optimally estimated by BIA in combination with anthropometric measures. Methods: 357 participants were enrolled. They were volunteers from a health promotion center and a obesity clinic in a general hospital in Seoul, aged between 16 to 72 years. Height, weight, waist circumference, and hip circumference were measured. Body composition was assessed with BIA and fat CT. We examined the association of anthropometric and BIA measurements with abdominal fat assessed by CT. Results: All BIA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total abdominal fat area by CT (P<0.0001). Total fat mass by BIA had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total abdominal fat area by CT in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r=0.82). Total fat mass measured by BIA had a moderate correlation with visceral fat on CT scan, whereas percentage of body fat assessed with BIA showed a weak correlation (r=0.24). The correlation was strong in the age groups of 10s~50s, but in the young women, the correlation was weak. A combination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BIA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abdominal fat assessed by CT scan, rather than either method alone. Total fat mass by BIA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high explained variances. Conclusion: The correlation between total fat mass by BIA and CT was strong, but visceral fat assessed by CT and BIA did not show a strong correlation. For the evaluation of obesity,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CT have a practical advantage compared to BIA in elderly or obese young women.

목차

Abstract
서론
방법
결과
고찰
참고문헌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영아(Young-A Oh), 심경원(Kyoung-Won Shim), 이홍수(Hong-Soo Lee), 이상화(Sang-Wha Lee), 김수아(Soo-A Kim). (2006).생체전기 저항 분석법과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한 복부지방 측정의 상관관계.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7 (2), 225-237

MLA

오영아(Young-A Oh), 심경원(Kyoung-Won Shim), 이홍수(Hong-Soo Lee), 이상화(Sang-Wha Lee), 김수아(Soo-A Kim).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과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한 복부지방 측정의 상관관계."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7.2(2006): 225-2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