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의 장르 수용 양상과 의미

이용수 222

영문명
Reception Aspects and Meaning of Other Genre of Korean Verse with Dialogic Style -Focused on Dictionary of Korean Sijo-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저자명
변승구(Seung-Goo Byun)
간행물 정보
『순천향 인문과학논총』31권 1호, 5~35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는 연구 초기부터 논의되었으나 아직까지 명확하게 규명되진 못 하였다. 다만 장시조의 형식적 특성이나 시적화자를 논의하면서 간헐적으로 언급될 뿐이며, 구체적인 장르 수용을 통한 실체를 밝힌 논의는 영성하다. 본고는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의 양상을 타 장르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먼저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와 주변장르의 관계는 총 100수 중 40수가 확인되는데 먼저 서정양식의 한시와 민요가 15수씩이며 서사양식으로 고소설이 6수이고 역사적 고사로 4수가 확인된다. 가장 많이 수용된 것은 서정양식인 한시와 민요이고 서사양식인 고소설과 역사적 고사도 적지 않은 작품이 수용되었다. 실명씨는 金壽長이 3수이고 申獻朝와 朴仁老가 1수씩 밝혀졌으며, 형태상으로는 장시조가 단시조보다 3배 가량 더 많았다. 다음으로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는 서정양식으로 한시 중에서 중국의 문답시와 의문형으로 끝난 것을 수용하였으며, 수용양상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먼저 대화체 한시를 번역하여 수용한 경우와 한시를 대화 형식으로 변환한 경우, 그리고 한시를 확장하여 장형의 대화체로 수용한 경우 등이다. 한편 민요는 대화체 가사가 직접 수용된 경우와 가사를 변개하여 수용한 경우, 그리고 민요의 가사가 요약ㆍ정제된 경우가 있었다. 이를 통해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는 한시와 민요가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서사양식은 고소설과 역사적 고사가 수용되었다. 먼저 고소설은 중국 소설인 『三國志演義』와 한국 소설인 『淑香傳』이 수용되었다. 수용양상은 소설의 대화 장면을 수용한 경우와 소설의 대화 장면을 윤색하여 수용한 경우가 있었다. 다음으로 역사적 고사는 인물과 관련된 고사가 수용된 경우와 사건을 중심으로 수용된 경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시조의 대화체는 조선후기에 성행한 산문화와 연행문학의 발달, 그리고 전문 가객의 등장으로 장르간의 활발한 교섭을 통해 나타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의 의미는 연행현장의 특성을 배가시켰다는 점과 타 장르의 대화체를 시조의 형식적 특성으로 정착시켰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로써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는 조선후기 문학과 사회적 변동에 의하여 타 장르의 대화 형식을 적극 수용한 것으로 장르적 다층성과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며 정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dialogical aspects in Sijo by focusing on its reception aspects of Chinese poems and folk songs. The dialogical Chinese poems are translated or transformed into dialogical forms, or expanded into long dialogical styles. In the case of folk songs, the dialogical lyrics are directly accommodated, altered, summarized and refined into those of Sijo. Indeed, the Chinese poems and folk songs greatly influence the dialogical style of Sijo. As for the narratives, classical novels and historical episodes are also accommodated. Dialogical scenes of novels or its embellishment scenes are adopted. As in the historical episodes, some focused on persons or others on episodes themselves. This shows that the dialogical style of Sijo reflects the fusion of various literary genres, strong trends of prose in the later Joseon Dynasty, and travel literature in addition to the advent of professional singers and storytellers. Finally, the appearance of dialogical style in Sijo enables the genre to lengthen its stanza and assimilate other genres' style into its own formal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 it actively adopts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the period and expands its genre multiplicity.

목차

국문초록
Ⅰ. 序論
Ⅱ.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 수용 개관
Ⅲ. 서정양식의 수용양상
Ⅳ. 서사양식의 수용양상
Ⅴ.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의 의미
Ⅵ.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변승구(Seung-Goo Byun). (2012).시조에 나타난 대화체의 장르 수용 양상과 의미.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1 (1), 5-35

MLA

변승구(Seung-Goo Byun).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의 장르 수용 양상과 의미."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1.1(2012): 5-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