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양주별산대놀이>의 공손어법과 불공손어법의 문화적 의미

이용수 402

영문명
(Im)Politeness's Cultural Meaning of Yangju Masked Dance Play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주현식(Ju, Hyun-shik) 이상란(Lee, Sang-lan)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27권, 327~369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행 장르인 <양주별산대놀이>의 독특성을 조망하기 위해서는 연행 현장에 밀착하여 연행자와 청관중이 함께 형성하는 상황적 의미를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상술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를테면 청관중의 수용 맥락 속에서 연행자들이 발화하는 언어 형식이라든지, 동작이나 음악 같은 비언어적 채널들의 전달 경로들에 대한 문화사적 성찰은 연행 장르인 <양주별산대놀이>의 특성들을 새롭게 조망하고 사유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점을 유념하면서 공손어법과 불공손어법을 중심으로 <양주별산대놀이>의 '연행문법'에 담긴 문화적 의미를 살펴보려 한다. <양주별산대놀이>의 공손함의 에토스는 직접적 요청의 수행동사로 이어지는 담화적 배열 등과 함께 격식 있고, 일방향적이며, 특수함의 직(直)의 제스처가 취해지고, 사회적 정체성을 지표화하는 음악이 연주되는 가운데 감각적으로 구성된다. 반면 불공손함의 에토스는 병행구문 등 유희적 언어들의 사용과 함께, 자유롭고, 쌍방향적이며, 전국적인 곡(曲)의 제스처가 취해지고, 신체적 가소성을 지표화하는 음악이 결합하는 가운데 감각적으로 구성된다. 공손한, 불공손한 어법이 발화되는 경우, 심미적으로 보다 고양된 장면이 설정돼, 관객이 연행 현장에 참여할 수 있는 여지가 높아진다. 이러한 <양주별산대놀이>의 구술연행문법은 조선 후기의 사회문화적 상황을 상동적으로 형상화한다. 다시 말해서 공손함과 불공손함을 이루는 감각적 요소들은 문화적 행위의 한 단위인 문화소로서 체면을 구성하는 바, 더 큰 문화 단위인 의료 시스템, 상업 시스템, 식생활 시스템 등 조선 후기 관념적 차원의 문화적 활동 등을 권위적으로, 탈권위적으로 구조화하게 된다. 해서 보수와 혁신의 기운이 팽팽한 긴장 관계를 이루었던 조선 후기의 역사적 상황을 재맥락화하는 중요한 연행적 표지로서 <양주별산대놀이>의 공손한, 불공손한 어법이 가지는 문화적 의미를 본고는 보여줄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논의는 탈춤 연행의 미학적 차원에 포섭된 사회문화적 차원을 중층적이고도 다층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로서 의의를 가질 것이라 사려된다. 언어학적, 동작학적, 민족음악학적, 문화학적 차원 등 융복합적 관점에서 탈춤의 연행문법을 정리해보는 일은 굿 기원설이나 민중 계층 성장론의 당위론적 시각 하에 전개되어 온 탈춤 연행 연구에 또 다른 방향을 마련하는 유용성을 가진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study distinctiveness of Yangju Masked Dance Play as performative genre, it is necessary to do as in-depth analysing of a situational meaning that performers and audiences make together at performance site. For example, a cultural perspective about linguistic forms or nonverbal channels like gesture and music provides Yangju Masked Dance Play's research with a new perspective. Bearing these points in mind, this paper will study cultural meaning of Yangju Masked Dance Play's oral performative grammars with (im)politeness as the center. In Yangju Masked Dance Play, politeness is sensuously made up a direct request's discourse, bound-unidirectional-particular gestures, and musics standing for a social identity. On the other hands, impoliteness is sensuously made up a playful discourse strategy like parallelism, free-bidirectional-global gestures, and musics standing for a physical plasticity. In both cases, audiences become participants, because of aesthetically elevated situations arising from uttering (im)politeness. Therefore, Yangju Masked Dance Play's oral performative grammars homonymously figure sociocultural conditions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That is, sensitive factors as (im)politeness's constituent make up faces as a unit of cultural activity, i.e. 'cultureme', and faces authoritatively or deauthoritatively structure intelligible cultural activity like medical, commercial, food life system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So, as a cultural meaning, (im)politeness of Yangju Masked Dance Play recontextualizes historical conditions of the late Chosun Dinasty which conservatism and progressive ideas continue the strained relations. As a result, this paper will have significances in that it attempts to variously understand sociocultural aspects of Korean Masked Dance Play's aesthetics. To linguistically, kinesically, ethnomusically, culturologically analyse oral performative grammars will provide us with useful research perspectives, because the earlier studies on Korean Masked Dance Plays have focused on ritual hypothesis of the origin of it or realism study about growth of the people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공손어법과 체면 추켜세우기
3. 불공손어법과 체면 끌어내리기
4. 조선 후기 탈춤의 문화소로서 체면의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현식(Ju, Hyun-shik),이상란(Lee, Sang-lan). (2013).<양주별산대놀이>의 공손어법과 불공손어법의 문화적 의미.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7 , 327-369

MLA

주현식(Ju, Hyun-shik),이상란(Lee, Sang-lan). "<양주별산대놀이>의 공손어법과 불공손어법의 문화적 의미."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7.(2013): 327-3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