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매월당 김시습의 백이 이해와 그 의미

이용수 502

영문명
Maewoldang Kim Siseup's Understanding of Poyi and Meaning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이홍식(Lee, Hong-shik)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27권, 265~296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상기 연구자는 그 동안 조선시대 백이 수용의 제 양상과 백이 담론의 사적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해 왔는데, 본고 또한 이 작업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 본고에서는 특히 조선시대 백이 담론의 첫 장을 연 김시습의<백이숙제찬(伯夷叔齊贊)>과<군자은현론(君子隱現論)>에 주목하였다. 이 두 작품이 조선시대 백이 담론의 초기적 모습뿐만 아니라 은일로 점철된 김시습의 삶의 내적 토대까지 잘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선 두 작품에 투영되어 있는 백이 이해의 실체를 의리와 은일의 차원에서 새롭게 구축하였다. 그리고 당대의 정치ㆍ사회적 맥락, 즉 계유정난이라는 왕도 정치의 붕괴 상황과 연결하여 김시습의 창작 의도를 읽어내고, 작품의 가치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조선시대 백이 담론의 장에서 두 작품이 차지하는 위치를 점검하고 의미를 규정함으로써 소기의 과정을 마무리했다. 그 결과 김시습의<백이숙제찬>과<군자은현론>이 백이의 삶을 체화한 김시습의 의리론과 출처관이 투영된 대표 작품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찬(贊)의 양식에 의론을 더한<백이숙제찬>은 무왕과 태공에 비겨 세조와 정난공신을 비판하고 있는 문제작으로, 당대 정치ㆍ사회의 맥락에서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백이숙제찬>은 백이 담론의 장에서 볼 때, 백이의 의리를 신화화/절대화하여 무왕과 태공을 비판한 최초의 작품이라는 점에서 또 다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다만 사마천의<백이전>에 대한 분석적ㆍ비평적 접근의 부재로 백이 담론이 구체화ㆍ예각화 되지 못한 한계, 즉 백이 담론의 초기적 한계 또한 발견할 수 있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김시습의 백이론과 은일관이 당대를 넘어, 17세기 중반 이후 포양 작업과 맞물려 서인계 지식인들에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는 만큼 그 의미가 상쇄되지 않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영문 초록

The researcher has meanwhile strived to apprehend types of Poyi acception and historical contexts of Poyi discourse in Chosun period. This paper is laid on extension of this research. Especially this paper takes note on Kim Siseup's Praise for Poyi and Sukjai(伯夷叔齊贊) and Hiding Noblemen Theory(君子隱現論) opening the first step of Poyi discourse in Chosun period. These two works concretely showed not only aspects of early Poyi discourse but also internal base of Kim Siseup's life filling of hiding. So this paper newly constructs truth of Poyi understanding projected in two works in the level of loyalty and reclusion. And I read intention of Kim Siseup's writing connected with politicㆍsocial context in those time which was destroying of politics of royal statesmanship as Kaeyu suppression(癸酉靖亂), and evaluate value of works. Finally, I am finished a certain course with defining meaning and inspecting position of two works in the field of Poyi discourse during Chosun period. As a result, Kim Siseup's Praise for Poyi and Sukjai(伯夷叔齊贊) and Hiding Noblemen Theory(君子隱現論) were representative works projected Kim Siseup's view of loyalty and reclusion realizing life of Poyi. Especially Praise for Poyi and Sukjai(伯夷叔齊贊) the praise genre adding debate was a controversial work criticizing King Sejo and meritorious retainers of suppression with comparing King Mu and Taegong. These had a lot of suggesting things in politicㆍsocial context in those time. Also in the field of Poyi discourse, Praise for Poyi and Sukjai(伯夷叔齊贊) was the first and the last works that criticized King Mu and Taegong in Poyi's the view of loyalty. This fact have another meaning. However Poyi discourse had a limit that did not become concretization and sharpening with absenting analyticㆍcritic approach. This is an early limit in Poyi discourse. Of course, Kim Siseup's Poyi theory and view of reclusion did not cancel out meaning, because these consistently influenced to intellectuals of Seoin group engaging with working Poyang after the mid of 17C beyond those time.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김시습의 백이 이해의 두 층위
3. 김시습의 백이 신화 구축과 그 함의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홍식(Lee, Hong-shik). (2013).매월당 김시습의 백이 이해와 그 의미.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7 , 265-296

MLA

이홍식(Lee, Hong-shik). "매월당 김시습의 백이 이해와 그 의미."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7.(2013): 265-2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