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무용의 참여가 여성노인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염증반응인자 및 노인활동체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80
- 영문명
- Effects of Korean Dance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Blood Inflammatory Markers, and Senior Fitness in Elderly Women
- 발행기관
- 한국노년학회
- 저자명
- 전찬복(Jun, Chan-Bok) 정상열(Jung, Sang-Yeul) 조강옥(Cho, Kang-Ok)
- 간행물 정보
- 『한국노년학』제33권 3호, 551~561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무용의 참여가 노인들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염증반응인자 및 노인활동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여 노인건강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으로써의 한국무용의 유용성을 실험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12주 동안 주 3회, 1회 60분 동안 실시한 한국무용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노인들과 참여하지 않은 여성노인들을 대상으로 한국무용 참여 전과 후에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염증반응인자 및 노인활동체력을 반복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한국무용참여는 대사증후군 위험 인자 중 허리둘레 (F=4.701, p=.031), 수축기혈압 (F=3.839, p=.047), HDL-cholesterol (F=5.570, p=.020)에서 시기와 그룹 간의 유의한 상호효과와 함께 그룹에 의한 유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냈고, 염증반응 인자는 C-reactive protein (F=4.450, p=.045)와 백혈구 (F=5.923, p=.017)의 수준이 시기에 의한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노인활동체력 변인들의 변화는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하지근력(F=29.709, p<.001), 상지근력 (F=23.082, p<.001), 근지구력 (F= 7.724, p=.009), 유연성 (F=3.955, p=.035), 민첩성(F=13.552, p<.001)의 수준이 그룹과 시기간의 유의한 상호효과를 나타냈고 하지근력 (F=37.190, p<.001), 상지근력 (F=43.634, p<.001), 균형성 (F=5.515, p=.021), 근지구력 (F=20.533, p<.001)은 그룹에 의한 유의한 개선효과를 보였으며 심폐지구력 (F=3.756, p=.045), 하지근력 (F=13.921, p<.001), 상지근력 (F=43.634, p<.001), 유연성(F=12.540, p<.001)은 시기에 의한 유의한 개선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12주의 한국무용은 여성노인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와 노인활동체력의 개선에는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Korean dance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blood inflammatory markers, and senior fitness (dance group, n=23 vs., control group, n=24) in elderly wome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waist circumference F=4.701, p=.031), HDL-cholesterol level (F=5.570, p=.045), and systolic blood pressure (F=4.339, p=.047) as th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the dance group were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according to time and the type of group with significant main effects according to the type of group in waist circumference (F=6.979, p=.016), systolic blood pressure (F=6.712, p=.015), HDL-cholesterol (F=7.511, p<.001). Regarding the blood inflammatory markers, the level of C-reactive protein ( F=4.450, p=.045) and the white blood cell count (F=5.923, p=.017) both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ver time in the dance group. In a senior fitness, the muscular strength of the lower body ( F=29.709, p<.001) and of the upper body (F=23.082, p<.001), the level of muscular endurance (F=7.724, p=.009), flexibility (F=3.955, p=.035), and that of agility (F=13.552, p<.001) all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according the time and the type of group. These results show that a Korean dance program can reduce metabolic syndrome risk by improving fitness levels in elderly women.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은퇴시기가 주관적 신체적, 정서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재가 및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경험 및 선호도
- 노인차별(ageism)의 사회경제적 관련요인과 건강영향
- 지역사회 치매환자의 일상활동 프로그램 치료 효과-예비연구
- 60대 한국인의 심리적 특성: 정서, 사고방식, 가치관의 연령대별 비교
- 손자녀 양육자로의 전이가 조부모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을 위한 당뇨병 자기관리 지식 측정 도구(DSMK-O) 개발
- 노인의 신체활동 참여 제약요인들의 우선순위 분석
- 한국무용의 참여가 여성노인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염증반응인자 및 노인활동체력에 미치는 영향
- 준고령자와 고령자의 은퇴만족도 영향요인 비교분석
- 급성기 병원과 장기요양시설 공급이요양병원 입원진료비에 미치는 영향
- 노인복지서비스의 사각지대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 유형별 가구 내 자살생각 군집화 영향요인 분석
- 디지털정보화 접근수준이 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배움터 참여에 따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발달장애인의 지원의사결정에 대한 좋은 실천은 가능한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