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시아 지역 여성 역량강화를 위한 한국 공적개발원조(ODA) 방안

이용수 1395

영문명
Korea's ODA for Women's Empowerment in Asia: Focusing on TVET Cases in India and Philippines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저자명
김효정(Hyojeong Kim) 마정윤(Jung Yun Mah) 이슬기(Seulgi Lee)
간행물 정보
『여성학논집』제31집 1호, 63~92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시아 지역 여성의 역량강화를 위한 한국 공적개발원조(ODA)를 모색하는데 있어 기솔직업교육훈련(TVET)에 주목한다. 한국의 교육 분야 개발협력은 아시아를 중심으로 기술교육과 일자리에 대한 TVET를 중점적으로 지원해왔다 그러나 여성의 역량강화라는 목표에 있어 TVET의 예산, 기획, 시행 및 명가 정도는 성중립적 (gender neutral)이거나 때론 몰성적(gender blind)이었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2012년 교육예산은 전체예산의 약 23%를 차지하는 반면 여성을 직, 간접적 목적으로 하는 TVET의 예산은 전체 예산의 약 1%였고, 기존의 여성 대상 TVET 사업들은 대개 여성 노동의 특성을 고려한 접근성이 부채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의 ODA 사업 종 젠더통합적인 TVET 사례를 아시아 여성의 역량강화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해 시민사회(CSO)에 대한 다자간 프로그램 원조 사혜인 인도의 맨발학교(Barefoot College)와 양자 간 프로그램원조 사혜인 필리핀의 여성경제역량강화교육을 분석하였다. 이 두 TVET 사혜의 특정은 단순히 여성을 임금노동 시장으로 편입시키는 것이 아니라 여성이 처한 현실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경제적 역량강화를 이루고 있는데, 이를 위한 주요한 요소로는 개인과 지역 공동제의 통합적인 발전, 여성노동에 대한 전체적인 접근, 여성들 간의 차이 고려를 통한 접근성 증대, 성별고정관념을 넘어선 여성노동에 대한 충분한 고려 및 남녀 모두에 대한 성 명등 의식 고양 등이 요구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VET(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or Korean ODA(Official Development Aid) to enhance Asian women's empowerment. Educ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Korea aids in priority TVET to expand technical education and job creation for recipient countries. However budget and planning and evaluation of TVET were generally gender neutral or gender blind. This study found the aid budget of KOICA's TVET projects on women was less than I% and existing TVET projects of ODA for women or gender equality in developing countries failed to analyze and adjust the women's status of local labor market and characteristic of women's labor. To understand the gender integrated TVET, it reviewed TVET cases of foreign ODA the 'Barefoot College' program in India funded by UNDP and UNESCO, and 'Gender-Responsive Economic Actions for the Transformation'(GREAT) in Philippine funded by CIDA. These two cases are not just added women into wage labor market, its approach was based on the comprehensive perspective of women's economic empowerment which includes several factors that the integrated development between individuals and local community level, holistic approach of women's labor, advancement of acces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women's differences, overcoming the gender stereotypes of women labor and raising the gender equality awarenes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지역 공동체와 여성의 경제적 역량강화 : 인도 맨발 학교(Barefoot College)
Ⅳ. 성 평등 인식고양을 통한 여성의 경제적 역량강화 : 필리핀 여성경제역량강화교육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효정(Hyojeong Kim),마정윤(Jung Yun Mah),이슬기(Seulgi Lee). (2014).아시아 지역 여성 역량강화를 위한 한국 공적개발원조(ODA) 방안. 여성학논집, 31 (1), 63-92

MLA

김효정(Hyojeong Kim),마정윤(Jung Yun Mah),이슬기(Seulgi Lee). "아시아 지역 여성 역량강화를 위한 한국 공적개발원조(ODA) 방안." 여성학논집, 31.1(2014): 63-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