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급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종성 관련 음운현상의 빈도 분석
이용수 398
- 영문명
-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final consonants and related phonological phenomena in Korean based on the phonetic transcription data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윤은경(Yoon, Eunkyung)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21 No.1, 267~286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sought to analyze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final consonants in Korean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teaching foreign learners pronunciation. In this paper, the audio materials contained in the elementary textbooks,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1, 2' were transcribed into Hangul and the frequencies of appearance of phonemes were analyzed using SynKDP ver 1.6.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final consonants out of all phonemes was approximately 14%. Of the final consonants, 88% were shown to be sonorants /m, n, ŋ, l/ and 12% were shown to be obstruents /p˥, t˥, k˥ /.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nasal sounds /m, n, ŋ/ was shown to be quite high at approximately 66%. The ratio of obstruents that became nasal sounds by the nasal assimilation, was shown to be approximately 16%. Lateral /l/ sound showed a frequency of 21% and only 1% of them were identified to be the result of the lateralization of obstruents. Meanwhile, approximately 74% of obstruent final consonants involved fortition, and only approximately 26% were pure obstruent final consonants. Finally, cases where the aspiratization occurred after neutralization were found in only 57 words out of 5,577 words in total.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G러닝 영어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효과 제시
- 아동문학 텍스트와 영화를 활용한 영어 교수
-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Nonnative English Teachers
- 한국어의 유머와 무례/불손의 경계에 관한 연구
- Grammatical Error Patterns in EFL Students' Writing across Different Language Proficiency Levels
- 문항 유형과 지문 친숙도가 영어 읽기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 초급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종성 관련 음운현상의 빈도 분석
- 장기적 집중 영어교육 프로그램 수행이 대학생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지각 및 학습 성향과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인용문과 인용동사의 기능과 사용 양상
- 고등학교 영어에세이 쓰기 수업에서 포트폴리오 사용의 효용성 및 학습자 인식 연구
- 초등학생의 영어 읽기 유창성 분석
- Indonesian Language Teaching for Two Different Groups of Foreign Speakers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대학수학능력 영어시험의 어휘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