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남녀취업자의 일/가족 갈등 인식

이용수 787

영문명
A Study on Perceived Work-Family Conflict of Married Working Men and Women with Children under 6 Year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cused on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Related Variables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김경화(Kim, Kyong Hwa)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5집 4호, 60~9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두고 있어 자녀양육의 부담이 비교적 큰 남녀기혼취업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경험하는 일-가족 갈등(WIF) 및 가족-일 갈등(FIW)의 수준과 관련 변인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남녀기혼취업자가 경험하는 일/가족 갈등에 대해 성별과 관련 변인들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관련 변인이 갖는 성별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제 2차 전국가족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기혼남녀 직장인 35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과 자녀돌봄 관련 변인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자녀돌봄시간이 길거나, 자녀수가 많으면 일/가족 갈등 인식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나, 여성의 경우에는 자녀돌봄시간이나 자녀수에 따른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여성의 일/가족 갈등 인식은 자녀양육부담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별과 가족 관련 변인 간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남녀 모두 가정 내 노동에 대한 분담만족도가 높은 경우 일/가족 갈등이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성별과 직장 관련 변인 간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여성은 근무시간이 길거나,주 5일제를 실시하지 않는 직장에 근무할 때 보다 많은 일/가족갈등을 경험하였으나, 남성의 경우에는 이러한 변인들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소득의 성별효과가 확인되었으며, 남성에게 소득은 일/가족 갈등을 완화하는 자원이었으나, 여성은 소득에 따른 일/가족 갈등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남녀기혼취업자의 일가족양립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ived work-family conflict of married working women and men with children under 6 year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related variable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365 working people from the 2nd Nation Survey of Korean Family in 2010. The findings showed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its parental time use for child-rearing, and between gender and child-rearing burden are significant at the level of work interfering with family(WIF) and family interfering with work(FIW). The more time men spend rearing for their children, and the more children men have, they indicated the much higher level of WIF and FIW, while women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level of WIF and FIW.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its parental time use for paid work, between gender and income, and between gender and holiday system are significant at the level of WIF and FIW. The shorter working hours are, and the stricter 2-day weekly holidays are observed, women indicated a much lower level of WIF and FIW, while men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level of WIF and FIW. The more income men earn, they indicated a much lower level of WIF and FIW, while women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 WIF and FIW.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work family balance of married working peopl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화(Kim, Kyong Hwa). (2013).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남녀취업자의 일/가족 갈등 인식. 가족과 문화, 25 (4), 60-90

MLA

김경화(Kim, Kyong Hwa). "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남녀취업자의 일/가족 갈등 인식." 가족과 문화, 25.4(2013): 60-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