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공간에 관한 비판적 논의

이용수 701

영문명
A Critical Discussion of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강기수(Kang, Ki-Su) 김정호(Kim, Jeong-Ho)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27권 제1호, 1~2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의 초등학교공간을 분석하고 비판적 논의를 통해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간과 공간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초등학교공간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초등학교공간의 변천 과정과 공간별 특징을 비판적 관점에서 분석한 다음, 개선 방향을 탐색하였다. 초등학교공간의 역사적․법적․제도적 변천 과정을 고찰해 본 결과 일제시대의 외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으며, 주로 효율적인 학습과 훈육을 위한 공간 형태를 띠고 있었다. 또한 초등학교공간을 교수학습공간, 관리지원공간, 행사놀이공간, 보건위생공간으로 구분하고 공간별 특성을 분석한 결과 공간은 구분되어 있으나 공간별 특성에 따른 다양성을 담아내지 못하고 있었으며, 아직도 지도․관리․통제 중심의 구조가 작동되고 있었다. 현재의 초등학교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 지향적인 학교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교육의 변화와 교육과정의 변화에 적합한 학교공간, 학교 공동체 모두가 참여하여 함께 만드는 학교공간, 아늑함을 느낄 수 있는 ‘집 같은 학교공간’, 다양성과 창의성이 묻어나는 학교공간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roblem of the space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o find out a right way of its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the authors tr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space of their lives and the importance of the space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o trace the historic change of the space in the school. The authors find that the space of the elementary school has been developed not for various different functions, i.e., for learning, administration, play, health care, and students’ welfare. The school space has been structured in a unformed and standardized type for the easy way of supervision, control and management, focusing on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school building.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 school space has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curriculum, because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school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 of students’ effectiveness in their school lives. It is recommendable to organize the school space like a house, so that the space can be used flexibly for many different activities.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초등학교공간의 이해
Ⅲ. 초등학교공간에 대한 분석 및 논의
Ⅳ. 초등학교공간의 개선 방향 탐색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기수(Kang, Ki-Su),김정호(Kim, Jeong-Ho). (2013).초등학교공간에 관한 비판적 논의. 교육사상연구, 27 (1), 1-27

MLA

강기수(Kang, Ki-Su),김정호(Kim, Jeong-Ho). "초등학교공간에 관한 비판적 논의." 교육사상연구, 27.1(2013): 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