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민족어 동사의 형태부와 그 유형론적 함의

이용수 542

영문명
A Study of Korean Verbal Morphology and its Typological Implications
발행기관
형태론
저자명
고영근(Ko, Yong-Kun)
간행물 정보
『형태론』형태론 15권 1호, 1~3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어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5.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민족어의 명사 형태부의 기술 모형에 대한 연구인 고영근 (2012나)의 자매편에 해당한다. 같은 맥락에서 동사 형태부에 대하여도 역시 람스테트의 문법 모형을 택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것을 주장하였다. 곧 정동사, 부동사, 동명사가 그것이다. 민족어의 정동사는 알타이 제어와 거의 유사성을 찾을 수 없었다. 존비법에 관한 한, 일본어와 공통성이 확인되었다. 민족어는 어말 어미가 문장을 휘갑 (마무리)하고 시제와 같은 문법 범주는 이른바 어말에 앞서는 자리에서 실현된다. 그런데 알타이 제어는 거의 예외 없이 인칭 어미가 인도 유럽어와 같이 어말에 자리를 잡으며 시제나 문체법을 표시하는 문법 범주는 인칭 어미 앞에서 실현된다. 민족어와 같이 공대법, 시제, 서법이 선어말 위치에서 실현되는 언어는 민족어와 길리야크어, 그리고 Sora어, Waunana어, Mundari어를 제외하고는 그 유례를 찾기가 매우 어렵다. 동작상은 사람에 따라 견해가 다를 수 있지만 민족어의 전 시기에 걸쳐 ‘-어 잇/있다’와 같은 우언적 (迂言的) 절차에 의존하였다. 부동사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각 시기에 걸쳐 고루 분포되어 있었으며 동명사는 자립적 용법과 부가어적 용법이 확인되었다. 우리의 민족어는 고대어에 다른 알타이어와 같이 동명사의 독립적 용법이 넓게 분포되어 있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접속적 용법에 그칠 뿐 알타이어처럼 정동사로 쓰이는 용법은 확인되지 않는다. 특히 “부동사”는 통언어적으로 볼 때 SOV 언어에서 확인되며 지역적으로는 유라시아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에 걸쳐져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독립된 문법 범주의 자격이 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rms a companion piece of Ko (2012), a study of descriptive model for nominal morphology. This asserts that Ramstedt’s model should be applied to verbal morphology including finite verbs, converbs and verbal nouns, Korean and Altaic languages have nothing in common in the realization of finite verbs. As far as speech levels are concerned, Korean finite verbs are similar to Japanese. In Korean, final endings conclude sentences and grammatical categories such as tense are realized in the prefinal position, In Altaic languages, on the contrary, personal endings almost unexceptionally come at the final position of a sentence and tense/sentence type markers are realized before personal endings. It is difficult to find out similar cases where honorifics, tense and mood are realized in the final position except for languages such as Korean, Gylak, Sora, Waunana, and Mundari. Aspects are expressed by periphrastic process such as –oe issta. Converbs are distributed evenly in every period of Korean and verbal nouns are used in independent environments as well as in attributive environments. In Ancient Korean, compared with Middle and Modern Korean, independent usages of verbal nouns were widely realized. However, these verbal nouns were limited to converbial environments; they were not used as finite verbs as in Altaic languages, Specifically converbs are well qualified for an independent grammatical category considering that "converbs" are identified in SOV languages regionally spread throughout the Eurasian continent.

목차

1. 목적과 방법
2. 전 민족어 동사 활용의 현상학
3. 전 민족어 동사 활용의 형태ㆍ통사론
4. 언어 유형론적 함의
5. 마무리
참고논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영근(Ko, Yong-Kun). (2013).민족어 동사의 형태부와 그 유형론적 함의. 형태론, 15 (1), 1-34

MLA

고영근(Ko, Yong-Kun). "민족어 동사의 형태부와 그 유형론적 함의." 형태론, 15.1(2013): 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