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약회사 건강캠페인 규제의 타당성 검토

이용수 179

영문명
Study on Legitimacy of Regulation on Pharmaceutical Company's Health Campaign
발행기관
한국경제연구원
저자명
강한철(Kang, Hancheol)
간행물 정보
『규제연구』제22권 제1호, 131~16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행 약사법과 의약품 등의 안전성에 관한 규칙은 백신 등 매우 제한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문의약품의 대중광고를 금지하고 이를 위반할 경우 불이익한 행정처분은 물론 형사처벌까지 부과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엄격한 금지와 규제는 비단 상품명이 노출되는 전형적인 상업광고만이 아니라 제약회사가 질병 인지도 향상이나 치료 필요성 설득을 위하여 시행하는 건강캠페인 등 공익적 성격의 정보제공에까지 미치고 있다. 그러나 건강캠페인에 대한 원칙적 금지는 미국, 캐나다, 유럽연합 등 선진각국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규제이다. 또한 광고와 같은 상업적 표현도 언론· 출판의 자유로 보호대상이 되고 그 규제를 위해서는 비례의 원칙과 같은 위헌성 심사를 거쳐야 한다는 것이 헌법재판소의 일관된 입장임을 고려할 때 광고의 내용에 대한 규제나 자율적 사전심의제도 수준을 넘어 제약회사 건강캠페인 자체를 전면적으로 금지하는 것은 침해 최소성의 원칙을 벗어난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 의료소비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여 알권리를 보장하고 사적 자치의 원칙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서라도 제약회사 건강캠페인을 허용하고 그러한 허용범위를 법령에 규정하는 등 과잉규제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전향적인 자세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and the Enforcement Decree on Safety of Drugs, etc. completely prohibit ethical drugs advertising through mass media except for very exceptional cases and in case of violation, impose a criminal punishment as well as an administrative sanction on a breaching pharmaceutical company. Furthermore, such strict prohibition applies not only to commercial advertising referring to a specific drug's brand name but also to a public health campaign sponsored by a pharmaceutical company in order to raise disease awareness among general public or persuade consumers to seek proper medical treatments. However, under the current Korean Constitutional Court's cases, even commercial expressions such as advertisements shall be protected as a fundamental right under the freedom of speech provision in the Constitution and any regulation on the expressions shall be tested by constitutionality scrutiny such a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this context, unlike regulation on the content of advertisement or voluntary prior review system, current blanket prohibition of health campaigns under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could be criticized as an excessive regulation deviating from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minimum damage.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even the European Union have permitted health campaigns among other similar forms of information provision to their medical consumers. To ensure medical consumers' rights to know by providing sufficient information and facilitate the principle of self-governing, it is highly needed to consider more forward-looking measures for solving this excessive regulation issue by, for example, explicitly providing admission of health campaigns in the enforcement decree.

목차

국문초록
Ⅰ. 서설
Ⅱ. 제약회사의 건강캠페인 규제현황
Ⅲ. 건강캠페인 규제의 해외사례
Ⅳ. 제약회사 건강캠페인 규제의 적정성 검토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한철(Kang, Hancheol). (2013).제약회사 건강캠페인 규제의 타당성 검토. 규제연구, 22 (1), 131-160

MLA

강한철(Kang, Hancheol). "제약회사 건강캠페인 규제의 타당성 검토." 규제연구, 22.1(2013): 131-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