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교육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이용수 3670

영문명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and task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저자명
최충옥(Choi, Chung-Ok) 조인제(Cho, In-Je)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제1권 1호, 1~20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4.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지난 20년 동안 국내의 다문화교육 연구동향을 반성적으로 분석 검토하고, 향후 연구 방향과 과제를 탐색하는데 있다. 다문화교육 연구는 대체로 2006년 이후 정부, 대학, 학교 등에 연구의 인프라가 구축되어 활성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동향을 정책연구, 학술연구, 현장연구로 구분하여 각종 학술논문과 연구보고서를 문헌분석 하였다. 그리고 각 영역의 성과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로는 첫째, 정책연구는 실태조사나 당연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두고 있어 중장기 발전과 정책연구가 미흡하고, 국제결혼 자녀의 동화와 사회적응에 연구가 편중되어 있으며, 외국인근로자 자녀 및 중도입국 자녀 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 둘째, 학술연구는 다양하고 확대되어 있으나, 개념과 용어에 있어서 혼란을 보여주고 있다. 일부에서는 국제이해교육, 세계화교육, 한글 및 한국문화교육 등을 다문화교육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었다. 셋째, 교육현장을 위한 연구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연구가 활성화되어 있었고,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였다. 그러나 사회과와 미술ㆍ음악 등과 같은 특정 교과교육 분야에 편중되어 있고, 평가와 관련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향후 다문화교육 연구의 활성화와 '다문화교육학' 정립을 위한 연구과제로 중장기적 패널연구, 각종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등을 제안한다. 또한 정책연구ㆍ학술연구ㆍ현장연구 간의 연계를 강화하고, 연구자와 현장실천가의 상호 소통과 교류를 확대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and the infrastructure in Korea, and to suggest tasks for the further study. I reviewed several research resources such as policy report, research articles and papers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rea, which was published during 1984-2010. The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rapidly from 2006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earch infrastructure of government, university, and school level. Critical findings are as following : 1) Most studies, which focuses on the problem of the student of international marriage's family, support melting-pot policy of the Government. However, it is too difficult to find out the student problems of foreign worker's family. 2) Some researchers misunderstood the concept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as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or Korean language education. 3) There are less studies on evaluation compare to the studies on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in multicultural education. Finally, this paper suggests some tasks for further studies. 1) Greater participation in the cooperated research projects, such as long-term panel research of student achievement is needed. 2) The effect of divers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to be further analyzed. 3) More discussion on the critical iss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policy analysts, academic researchers, and specialists of field study of an academic community is strongly recommended.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영역별 연구의 동향
Ⅲ. 다문화교육 연구동향의 분석 결과
Ⅳ. 다문화교육 활성화를 위한 향후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충옥(Choi, Chung-Ok),조인제(Cho, In-Je). (2010).다문화교육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다문화교육, 1 (1), 1-20

MLA

최충옥(Choi, Chung-Ok),조인제(Cho, In-Je). "다문화교육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다문화교육, 1.1(2010):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