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다문화교육의 진단과 방향

이용수 1709

영문명
Diagnosis and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focused on elementary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저자명
김정원(Jeong-Weon Kim)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제1권 1호, 135~157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고에서는 전국 시ㆍ도교육청 및 초등교원양성대학의 다문화교육사업과 서울교대 다문화교육연구원의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초등 다문화교육 현황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다문화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한 교육 대상을 교사(예비교사 포함), 학생(일반 및 다문화가정 학생), 그리고 학부모(일반 및 다문화가정 학부모)의 세 그룹으로 구분하여, 교육과학기술부 지원 시ㆍ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사업 및 초등교원양성대학의 다문화교육사업 현황분석과 함께, 서울교대 다문화교육연구원 의 경험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현재 초등다문화교육은 그 수혜대상 규모나 집중도로 보았을 때 주로 직접적인 다문화가정학생 대상 교육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교사대상 연수가 시행되고 있으나 아직 교육현장에서는 변화를 체감하기 어려웠으며, 사이버교육과 같이 단시간에 다수에게 접근 가능한 교육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 대상 교육은 그 중요성에 비해 아직 접근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다문화가정 및 일반 학생 대상 다문화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되 유치원 시기부터 조기 실시하는 것 이 필요하며, 다문화교육의 중요한 매개자로서의 교사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교대 및 사범대의 예비교사 대상 교육 및 현장 교사 대상 다문화 교육 및 연수를 확대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가족 학부모와 그 자녀의 교육이 상승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학부모 교육에 필요한 부처 간 제도의 정비와 협력을 통해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실질적인 통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그 효율을 높이고 추후 감당하게 될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and to suggest its direction focused on elementary education, based on the current data and experienc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for Multicultural Educaiton(SNUE RIME). The three main targets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classified as elementary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social integration in Korea. Currently approach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ppeared to be focused on direct education of the students, therefore, more effort should be given to the education for the parents and teachers including perspective teachers. To minimize the social expenses that we may have to pay in the future, followings are suggested. Firs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started from the early stage of education, that is, kindergarten. Second, more efforts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erspective teachers as well as teachers on service should be made to provid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in an efficient way. Third, the ministries related with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collaborate each other to provide public-friendly joint educational program that could exert synergistic effect for the educ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초등 다문화교육 현황 분석
Ⅲ. 초등 다문화교육의 진단과 방향 모색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원(Jeong-Weon Kim). (2010).초등 다문화교육의 진단과 방향. 다문화교육, 1 (1), 135-157

MLA

김정원(Jeong-Weon Kim). "초등 다문화교육의 진단과 방향." 다문화교육, 1.1(2010): 135-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