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상현실 기반 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47

영문명
Effect of Virtual Reality Based Exercise Program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발행기관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저자명
김성호(Kim, Seong Ho) 김형근(Kim, Hung gun) 이제혁(Lee, Je Hyeok)
간행물 정보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7권 제2호, 373~39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 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총 3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지재활치료만 받은 실험군과 가상현실 기반 운동프로그램을 추가한 실험군에 각각 15명씩 무선 할당하여 총 6주간 연구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의 상지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푸글-마이어 평가(Fugl-Meyer Assessment, FMA), 상지 운동기능검사(Action research Arm Test, ARAT), 한국판 울프 운동기능 검사(K-Wolf Motor Function Test, K-WMFT)를 측정하였고, 일상생활동작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정된 바텔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측정하였다. 6주 운동 중재 후 두 군 모두 실험 전보다 실험 후 상지기능 검사에서 FMA를 제외한 ARAT, K-WMFT 측정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p<.05), 군 간 비교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실험 후 ARAT, K-WMFT값이 더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p<.05). 일상생활동작 검사에서는 가상현실 기반 운동군에서만 MBI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군 간 비교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MBI값이 더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p<.05).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가상현실 기반 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의 회복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가상현실 기반 운동프로그램을 이용한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in stroke patients using a virtual reality-based exercise program. 30 strok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The control group had 15 patients and the experimental group another 15 patients. All patients received 30 minutes of upper extremity exercise 5 times a week, but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n additional 30 minutes of virtual reality-based exercise 3 times a week. Fugl-Meyer Assessment(FMA), Action research Arm Test(ARAT), K-Wolf Motor Function Test(K-WMFT) were measured initially to serve as baseline data for upper extremity function. To determine the impact on ADL, Modified Barthel Index(MBI) measurement was also done. Repeat measurements of FMA, ARAT, K-WMFT and MBI were done after 6 weeks. Independent t-test result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ARAT and K-WMFT for both groups while FMA and MBI result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Dependent t-test result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RAT, K-WMFT and MBI of the experimental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virtual reality exercise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recovery of stroke patients’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in their activities of daily living.

목차

논문요약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방법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호(Kim, Seong Ho),김형근(Kim, Hung gun),이제혁(Lee, Je Hyeok). (2013).가상현실 기반 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 17 (2), 373-391

MLA

김성호(Kim, Seong Ho),김형근(Kim, Hung gun),이제혁(Lee, Je Hyeok). "가상현실 기반 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 17.2(2013): 373-3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