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체장애인, 청각장애인 및 일반인의 의사소통 삶의 질 비교

이용수 1203

영문명
Comparison of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Between the Physically Disabled, the Hearing Impaired and Without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저자명
정소영(Jeong, So Young) 임경원(Im, Kyeong Won) 김삼섭(Kim, Sam Sup)
간행물 정보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7권 제2호, 279~29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의 의사소통 삶의 질을 알아보고자, 경기도 H대학에 재학하거나 졸업한 지체 장애인과 청각장애인 및 일반인 180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삶의 질 척도를 검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의사소통 삶의 질 전반적 수준은 일반인, 지체장애인, 청각장애인 순이었다. 둘째, 하위영역별 의사소통 삶의 질은 지체장애인이 의사소통에 대한 자신감 및 자율성과 일상생활 참여 영역에서 일반인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역할 및 자아와 타인과의 상호작용 영역에서는 지체장애인과 청각장애인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일반인보다는 낮은 수준이었다. 셋째, 의사소통 삶의 질의 하위영역 간 상관관계는 4개의 영역이 모두 서로 양적상관이 있었다. 넷째, 변인에 따른 의사소통 삶의 질 차이에서 연령은 지체장애인과 청각장애인 및 일반인에게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성별과 대학재학 여부는 청각장애인 여자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경도장애인 경우가 의사소통 삶의 질이 높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장애인 의사소통 삶의 질 척도의 기준을 마련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of the disabled.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scale of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with 180 study subjects. The study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general level of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without disabilities showed the highest, and the next ones were the physically disabled and the hearing impaired in order; secondly, regarding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by sub category, the physically disabled showed the similar points a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sub categories of the confidence and self-control in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into every day life, and showed the similar level as the hearing impaired, but lower level than without disabilities in the sub categories of roles and interaction between themselves and others; thirdly,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sub categories of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four sub categories had positive correlation; fourthly, regarding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depending on variables, age didn't mak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physically disabled, the hearing impaired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sex and whether they are at university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especially the female hearing impaired had the highest points.

목차

논문요약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소영(Jeong, So Young),임경원(Im, Kyeong Won),김삼섭(Kim, Sam Sup). (2013).지체장애인, 청각장애인 및 일반인의 의사소통 삶의 질 비교. 재활복지, 17 (2), 279-297

MLA

정소영(Jeong, So Young),임경원(Im, Kyeong Won),김삼섭(Kim, Sam Sup). "지체장애인, 청각장애인 및 일반인의 의사소통 삶의 질 비교." 재활복지, 17.2(2013): 279-2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