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취학전 말더듬아동 교사의 인식과 반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1780

영문명
A Qualitative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and Response Processes Towards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승미(Seung-Mi Kim) 이은주(Eun-Ju Lee)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18. no.2, 203~22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말더듬 아동의 치료에서 교사는 부모와 더불어 아동의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취학 전 말더듬 아동에 대한 인식과 반응과정을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취학 전 말더듬 아동의 담임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근거이론 접근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말더듬 아동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은 ‘무엇인가 해야겠다’를 중심현상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중심현상의 인과적 조건은 ‘말더듬의 인식’, ‘말더듬에 대한 아동의 태도 인식’이었다.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으로 ‘또래의 인식 및 태도’, ‘부모의 적극적 태도’가 작용하였다. 중심현상에 대처하는 말더듬 아동에 대한 교사들의 작용/상호작용으로는 ‘의도적으로 관찰’, ‘도움방법의 탐색’, ‘부모 및 또래와 정보 공유’, ‘말더듬에 대처’이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적 조건으로 ‘말더듬에 대한 교육의 부족’, ‘말더듬 성인에 대한 경험’, ‘다른 장애를 우선함’, ‘교실 환경의 제약’이 작용하였다.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의 결과는 ‘한계에 부딪침’, ‘말더듬의 장애 인식 여부’, 아동의 미래에 대한 낙관과 걱정’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취학전 말더듬 아동의 교사들은 말더듬 아동에 대해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말더듬 아동에게 ‘무엇인가 해야겠다’라는 의지를 가지고 대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사들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말더듬 아동의 치료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 teacher can great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a child who stutters along with his or her parents. Thus, in this research, teachers’ perceptions and response processes towards a stuttering preschool children will be analyzed and the causes of these particular perceptions and responses will be clarified. Methods: In-depth interviews with 6 homeroom teachers of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have been performed, and then analyzed through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Results: The central phenomenon in the experiences of teachers towards children who stutter was found to be in the sense of ‘need to do something’. The causal conditions of this phenomenon were the teachers’ ‘perception on stuttering’, and ‘identifying children’s attitudes towards stuttering’.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peers’, ‘active attitudes of parents’ functioned as contextual conditions influencing the phenomenon. The examples of a teacher’s action/interaction with a stuttering child to handle such a phenomenon were ‘observing the child intentionally’, ‘seeking ways to help’, ‘sharing the information with parents and peers’, and, ‘handling the stuttering behaviors’. The intervening conditions influencing these actions were ‘lack of education on stuttering’, ‘an experience on a stuttering adult’, ‘priority to other disabilities’, and ‘limitation of classroom environment’. The action/interaction consequences towards the phenomenon were found to be ‘encountering the limit’, ‘whether to perceive stuttering as disability or not’, and ‘optimism or concern about the future of the children who stutter’.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eachers’ responses and their roles in therapy for children who stutter.

목차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승미(Seung-Mi Kim),이은주(Eun-Ju Lee). (2013).취학전 말더듬아동 교사의 인식과 반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8 (2), 203-222

MLA

김승미(Seung-Mi Kim),이은주(Eun-Ju Lee). "취학전 말더듬아동 교사의 인식과 반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8.2(2013): 203-2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