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upervisory Voice Appraisal

이용수 333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곽원준(Kwak, Won jun)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7집 2권, 217~24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5.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직원의 발언행동은 가치 있는 역할 외 행동으로 평가 받아왔다. 하지만, 어떤 상황에서 직원의 상사가 실제 그러한 평가를 내리지 않는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성과평가 정보처리과정과 관련된 기존연구를 참고하면, 상사는 “나쁜” 직원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그 직원의 발언행동을 역할 외 행동으로 판단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직원의 a) 직무능력 유무와 b) 친사회적 동기 함양에 대한 상사의 인식이, 그 직원의 발언행동을 상사가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63쌍의 상사와 부하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및 분석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어떤 직원의 a) 직무능력이 부족하거나 혹은 b) 친사회적 동기가 낮다고 인식할수록, 상사는 그 직원의 발언행동을 적절한 역할 외 행동으로 평가하지 않는 경향이 강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발언행동, 직무능력, 그리고 친사회적 동기간의 상호조절효과에 대한 가설도 지지하였다. 어떤 직원이 직무능력과 친사회적 동기 중에서 하나라도 낮은 수준이라고 여겼다면, 상사는 그 직원의 발언행동을 역할외행동으로 평가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에, 어떤 직무능력과 친사회적 동기가 둘 다 높다고 판단할 때에, 상사는 그 직원의 발언행동을 의미 있는 역할 외 행동으로 여기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와 함께 향후 연구과제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Employees' voice has been recognized as valuable extra-role performance.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conditions in which supervisors would not assess it as employees' extra-role performance. Based on research of supervisory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in performance appraisal, it was expected that supervisors would not consider employees' voice to be extra-role performance when the employees were perceived to be "bad." Especially, supervisory voice appraisal was expected to significantly vary contingent on the extent to which supervisors preconceived employees to be a) competent and/or b) prosocially motivated in a job. To test our predictions, the present study examined 263 supervisor-employee dyads in a multinational South Korean compan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when supervisors regarded employees to be low in a) job competency or b) prosocial motivation, the supervisors less likely evaluated the employees’ voice as extra-role performance. There was also an expected three-way interaction of voice, job competency, and prosocial motivation. Employees’ voice was judged to be extra-role performance only when supervisors perceived employees to be high in both job competency and prosocial motivation; when supervisors considered employees to be low in any of job competency and prosocial motivation, the supervisors did not evaluate the employees’ voice as extra-role performance. The study findings would be discussed along with manageri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Theory Development
Ⅲ. Method
Ⅳ. Results
Ⅴ. Discussion
References
요 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원준(Kwak, Won jun). (2013).Supervisory Voice Appraisal.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7 (2), 217-244

MLA

곽원준(Kwak, Won jun). "Supervisory Voice Appraisal."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7.2(2013): 217-2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