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갈등관리에 대한 직무탈진의 영향

이용수 1127

영문명
The Effects of Burnout on Conflict Management: The mediation Effects from Inauthentic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the Moderation Effects of Gender & Job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한태영(Han, Tae Young)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7집 2권, 75~10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5.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무탈진이 효과적인 갈등관리를 저해하는 부적(-) 관련성을 세부적으로 밝히고 자 한 연구이다. 또한, 직무탈진에 영향을 주는 선행변인으로서 개인이 인식하는 가식(inauthenticity)과 의사소통 역량을 고찰하여 직무탈진이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 과정을 검증하였다. 두 선행변인도 갈등관리에 일부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 모형이 직무탈진을 통해서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 모형보다 적합함을 검증하였다. 부분 매개모형과 함께, 직무탈진과 갈등관리 간 관계의 강도가 Holland가 대조 관계로 제안한 직무군(즉, 연구직과 경영관련직)과 남녀 성차에 따라서 달라지는지를 검증하여 직무와 성차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았다. 층화표본추출법을 적용하여 연구직 6개와 경영관련직 5개 등 11개 직군에서 628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매개모형을 비교검증하고, 핵심경로 외에는 동일성제약(equality constraints)을 적용하여 상호작용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직무군과 성차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며, 특히 남성-연구직의 경우 직무탈진이 효과적인 갈등관리를 저해하는 부정적 영향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primarily focused on the negative influence of job burnout on the effectiveness of conflict management. Individuals' perceived inauthentic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were considered as predictor variables of the job burnout which was, therefore, examined as a mediating variable. The two predictors were also investigated if they have direct effects on conflict management, by the model comparisons with the full-mediation model.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s of job type and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conflict management were also tested to see if the relationship differs across the groups. Applying a stratified sampling method the study collected 628 employee data from six investigative jobs and five enterprise jobs. The study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compare the mediation models, and the interaction effects were tested adopting the equality constraint methodology to the non-essential paths. Results revealed that the partial mediation model was highly explicable, and that the interaction effects of job type and gender were also significant, thereby burnout having the strongest effect on conflict management for the male investigative group. Based on th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본 론
Ⅲ. 실증분석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태영(Han, Tae Young). (2013).갈등관리에 대한 직무탈진의 영향.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7 (2), 75-103

MLA

한태영(Han, Tae Young). "갈등관리에 대한 직무탈진의 영향."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7.2(2013): 75-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