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영화에서 주체의 재현 : <오발탄>과 <나쁜 영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433

영문명
The Subject of Representation in Korean Cinema : Two Limit Cases
발행기관
한국문화연구학회
저자명
얼 잭슨 주니어(Earl Jackson Jr)
간행물 정보
『문화연구』제1-2호, 241~27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많은 한국영화들이 인생과 개개인들의 삶이 지니는 의미를 묻는다. 이러한 경향을 주제상으로가 아니라 영화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각각의 영화에서 서사의 주체 (픽션 영화의 인물과 다큐멘터리의 “실제 인물”) 가 자신의 존재의 본질에 질문을 던지거나 그 존재를 부인하는 장면을 입구삼아 시작하려 한다. 우리가 인물과 주체성 사이의 차이를 발견하는 것은 스크린 위의 인물이 맞닥뜨리는 이러한 한계사건(limit-case)에서다. 필자는 소위 “리얼리즘”의 고전 중 하나로 여겨지는 <오발탄>(유현목, 1960)을 제고하여 이 영화가 리얼리즘 미학의 한계(limit)들을 넘어서는 방식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이 영화와 보다 최근 작품인 <나쁜 영화>(장선우, 1998)를 비교하며 읽어볼 것이다. 이는 단순히 고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내놓으려는 것도, 한국영화사에 대한 뻔한 이의제기를 하려는 것도 아니다. 그보다는 영화에 특정한 재현과 의미화의 형식들에 맞춰진 영화의 독해양식을 기술하려는 것이다. 나의 독해에는 스크린 위의 개체가 점하는 이 세 가지 의미역과 절합의 이중적 수준이 포함된다. 스크린 위의 개체를 서사의 주체로서, 재현기술 내의 이미지로서, 그리고 역동적 사회-상징 체계의 형상으로 읽는 것이다. 서사적 수준에서 절합된 의미는 영화적 재현의 수준에서 절합된 의미와는 구분될 것이다. 지배적인 영화의 관습들이 그러한 구분을 모호하게 만드는 반면, 내가 이 글에서 논의한 영화들은 재현된 주체와 재현의 체계 그리고 그 안에서의 정치적 문제의 묘사를 전면에 드러내 보이는 작품들이다.

영문 초록

A substantial number of Korean films raise questions about the meaning of human life and the meanings of individual human lives. I will explore this tendency not thematically but cinematically. My point of entry into each film will be a scene in which a subject of the narrative (a character in a fiction film and a “real person”in a documentary) either questions the nature of its existence or negates that existence. It is in this limit-case of the on-screen figure that we find the difference between character and subjectivity. I would like to reconsider Obaltan [Aimless Bullet] (Yu Hyun Mok, 1960), one of the so-called “realist”classics of the period to highlight ways in which the film exceeds the limits of that aesthetic. I will then attempt a comparative reading of this film with a more contemporary film, Nappeun Yonghwa[Bad Movie] (Jang Sun Woo 1998). My larger aim is not merely to offer a new interpretation of a classic, nor merely to contest a truism of Korean film history, but rather to delineate modes of reading film attuned to the forms of representation and signification that are specific to cinema. My reading protocol includes the triple-register of the on-screen entity and a dual-level of articulation. I will read the on-screen entity as subject of the narrative, image in the technology of representation, and figure in a dynamic socio-symbolic system. I will distinguish meanings articulated on the level of the narrative from meanings articulated on the level of filmic presentation. While the conventions of dominant cinema usually obscure such divisions, each of the films I discuss here foregrounds the tensions between the represented subject and the system of representation, and illuminates the political stakes therein.

목차

1. 들어가면서
2. 두 가지 질문들
3. 역사적 레퍼런스에 대한 논쟁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얼 잭슨 주니어(Earl Jackson Jr). (2012).한국 영화에서 주체의 재현 : <오발탄>과 <나쁜 영화>를 중심으로. 문화연구, 1 (2), 241-275

MLA

얼 잭슨 주니어(Earl Jackson Jr). "한국 영화에서 주체의 재현 : <오발탄>과 <나쁜 영화>를 중심으로." 문화연구, 1.2(2012): 241-2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