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가족 내 부부간 성관계에 투영된 젠더 격차(Gender Gap)

이용수 747

영문명
The Gender Gap Reflected in the Sexual Relations of the Korean Family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저자명
함인희(Inhee Hahm)
간행물 정보
『여성학논집』제29집 2호, 175~21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가족을 주제로 한 연구 중 부부간 성관계를 본격적으로 다룬 논의가 희소한 상황에서 이 글은 2008년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한 <한국가족조사>를 활용하여 부부간 성관계의 실제 행동양식 및 규범적 의식에 투영되는 젠더 격차를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조사는 2008년 5월 1일~30일에 이루어졌고, 표본 수는 총 2,743명이며, 지역별층화표집방법을 사용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Pearson’s 상관관계, ANOVA 검증, 그리고 단계별 회귀분석을 시도하였다. 한국부부의 성관계에 투영된 젠더 격차를 보면, 성관계 만족도 및 성관계 비중 모두 남편이 부인보다 높고, 연령이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이는 점에서는 기존의 연구와 맥을 같이 한다. 성관계 비중은 보다 강화되고 있고, 성관계 빈도는 부부간 유사한 응답 패턴을 보여 기존의 이중 성윤리 관행이 약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부부간 성관계 만족도, 성관계 비중, 평상시 스트레스, 그리고 결혼생활 만족도 사이에는 부부 공히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가운데, 성관계 비중과 성관계 만족도 그리고 성관계 비중과 평상시 스트레스 수준 사이에는 부부간 상관관계 계수가 반대로 나타나고 있다. 부부간 성관계 의식은 성관계 실태에 비해 젠더 격차가 뚜렷이 감지되고 있어, 혼전 성관계 및 혼외관계 모두 남편이 부인에 비해 허용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부부간 성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학적 배경, 성관계 특성, 부부 관계의 특성으로 나누어 단계별 회귀분석을 시도한 결과 부부 공히 부부관계의 특성이 가장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최종모델에서 부인은 인구학적 배경요인의 영향이 모두 사라진 반면 남편은 교육정도의 영향력이 여전히 유지되는 흥미로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sheds light on the gender gap reflected in the sexual relations of the Korean family. The data set derives from [The Korean Family Survey]sponsored by the Ministry of Gender. Survey was held May 1st to 30th in 2008, and total number of samples are 2,743 cases. Stratified sampling by region was used and Pearson’s Correlation, ANOVA tes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re tried. The gender gap reflected in the marital sexual relationship is as follows; sexual satisfaction and sexual importance for the husband are consistently higher than the wife’s regardless of the age and the educational level. Interestingly the Pearson’s correlations coefficient between the importance of the sexual relations and the stress level of everyday lives are positive for wife and negative for husband. Moreover, the gender gap in the sex-related norm or consciousness is stronger than in the sexual activities. However, frequency of the sexual relations between partners shows quite similar pattern,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sign of the weakening double standard for the conjugal sexual relations.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verifies the quality of the marital relations is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for both partners. But the final model 3 confirms the gender gap. for the wife the influence of the demographic factor disappears whereas for the husband the influence of the educational background has strongly remained.

목차

Ⅰ. 들어가는 이야기
Ⅱ. 부부간 성관계 논의를 위한 이론적 자원
Ⅲ. 한국가족 내 부부간 성관계에 투영된 젠더 격차
Ⅳ. 나가는 이야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함인희(Inhee Hahm). (2012).한국가족 내 부부간 성관계에 투영된 젠더 격차(Gender Gap). 여성학논집, 29 (2), 175-210

MLA

함인희(Inhee Hahm). "한국가족 내 부부간 성관계에 투영된 젠더 격차(Gender Gap)." 여성학논집, 29.2(2012): 175-2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