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세기 영국 여성의 “성장”과 성장소설의 역동성

이용수 898

영문명
Female Development in Nineteenth-Century England and Dynamics of the Bildungsroman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저자명
오정화(Jung-Hwa Oh)
간행물 정보
『여성학논집』제29집 2호, 3~3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19세기 영국 여성의 “성장”에 관한 소설들이 성장소설이라는 장르와 맺고 있는 복합적 관계를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성장소설이 가지고 있는 역동성을 잘 구현하고 있는 작품들이 여성의 “성장”에 관한 소설임을 밝히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18세기 말 독일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는 성장소설은 자아의 발전을 통해 사회와 화해해가는 과정을 그린 것으로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성장소설을 자아의 무한한 가능성을 이상화하면서 동시에 사회와의 통합이라는 제한적인 목표를 제시하는 데에서 오는 자아와 사회 사이의 갈등을 표현하는 서술 형식으로 파악하고, 그 갈등을 정치적・사회적 구조에 대한 비판과 연결시키면서 그 사이의 모순과 긴장을 드러낼 때 성장소설이라는 장르가 지닌 잠재적 전복성을 구현하는 역동성을 발휘할 수 있다고 본다. 성장소설이 지닌 이러한 잠재적 전복성을 잘 구현하고 있는 작품들이 19세기 여성 작가들이 그린 여주인공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분리영역 이데올로기로 인하여 결혼 외에는 경제적으로도 사회적으로도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여성의 독립성이나 자율성을 근본적으로 불가능하게 하는 사회로부터의 소외를 절실히 체험하였다. 젠더라는 요소로 인해 자아의 발전과 사회와의 통합 사이의 갈등이 배가 되었던 여주인공의 한 예로 제인 에어를 들 수 있다. 『제인 에어』는 여성 성장을 이야기하되 모순적이고 반의적인 의미들을 다양하게 삽입시키는 수법을 통해 균열을 냄으로써 여성 “성장”의 의미를 새롭게 정의하고 자아의 발전을 불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구조에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성장소설이 가진 역동성을 발휘한 대표적인 작품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complicated relations which the nineteenth-century English novel of female development has with the Bildungsroman genre, and to discuss that the story of female development effectively realizes the potential dynamics of the genre. It looks into the history of discussions on the Bildungsroman which began at the end of the nineteenth-century in Germany and developed among twentieth-century Anglo-American critics, and those on the female development which didn’t start until feminist criticism ventured out at the end of 1970s, and have developed into various perspectives ever since in accordance to the progress of feminist criticism. In general, Bildungsroman criticism considers that it portrays the process how the protagonist develops self and achieves an accommodation with society. However,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Bildungsroman is the narrative form which represents conflicts between self and society caused by idealizing the infinitive possibility of self-determination while simultaneously presenting the limited goal of social integration. It argues that the subversive dynamics of the genre can give full play to its potential when it reveals contradictions and tensions between individual subjectivity and integration into society and connects them with criticism of political and social structures. It is the stories of female Bildungshelds depicted by nineteenth-century female writers that exquisitely embody the subversive potential of the Bildungsroman. They acutely experience alienation from society where independency or autonomy is fundamentally impossible because the ideology of separate spheres does not allow them to live a meaningful life economically and sociologically outside the marriage. An example of a female Bildungsheld whose conflicts between development of self and integration with society are doubled by gender is Jane Eyre. Jane Eyre is a representative Bildungsroman with subversive dynamics, which tells the story of female development but splits itself through various techniques inserting contradictory and opposite meanings, thus resignifying female development and questioning social and political structure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여성 성장소설 논의의 발달사
Ⅲ. 여성 성장소설의 역동성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정화(Jung-Hwa Oh). (2012).19세기 영국 여성의 “성장”과 성장소설의 역동성. 여성학논집, 29 (2), 3-35

MLA

오정화(Jung-Hwa Oh). "19세기 영국 여성의 “성장”과 성장소설의 역동성." 여성학논집, 29.2(2012): 3-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